사설

진보정당 흡수통합은 정치발전 아니다

2011.05.01 21:18

민주당의 4·27 재·보선 승리가 곧 민주당의 미래를 보장해주는 것은 아니다. 내년 총선 및 대선은 재·보선과 성격이 전혀 다르기 때문이다. 재·보선이 이명박 정권을 심판하는 선거라고 한다면 총선 및 대선은 대안을 선택하는 장이다. 따라서 총선 및 대선에서 이명박 정권 반대라는 반사이익만을 노린다면 실패할 가능성이 크다. 특히 이번 선거는 강력한 차기 대선 주자인 한나라당 박근혜 의원이 참여하지 않은 선거였다. 민주당은 ‘이명박의 한나라당’을 상대한 것일 뿐 ‘박근혜의 한나라당’과 경쟁한 것이 아니었다. 한마디로 반쪽짜리 승리였다.

그런 현실을 깨달았다면 박 의원과의 경쟁에서 처지고 있는 민주당을 바로잡는 게 최우선이다. 민주당은 자신의 정치적 위치를 정확히 인식해야 한다. 한때 10년간 집권당이었으며, 현재 제1야당인 민주당은 홀로 선거를 치르기 힘겨운 약체 정당으로 남아 있다. 민주당이 단독으로 집권하리라고 상상하는 이도 드물 것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대안정당으로 거듭날지 치열하게 고민해야 한다. 조직·인물·노선·정책 전반을 재검토해야 한다. 민주당을 다시 뜯어고치는 데 총력을 쏟아야 한다. 그것이 우선이다. 그런데 그런 노력은 게을리하면서 진보정당을 흡수해 몸집 불리는 편리한 방법에 골몰하고 있다는 느낌을 주고 있다. 당내 진보개혁 모임이 어제 워크숍에서 야당 단일 정당을 주장했고, 문재인·문성근씨 등 민주당 주변 인사도 야권 통합을 촉구하고 있다.

그동안 한국 정치는 ‘진보정당 없는 정치’였고, 그것은 오늘날 한국 정치의 한계를 낳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다. 한국 정치의 발전은 물론 민주주의의 진전을 위해서도 진보정당은 의미 있는 세력으로 존재할 필요가 있다. 자기 목소리를 갖지 못한 소외세력, 비정규직에게도 정치적 대표권이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민주노동당, 진보신당, 민주노총이 중심이 된 진보진영 연석회의가 9월까지 진보정치대통합을 다짐한 것은 의미가 있다. 진보정당이 통합된다면 민주당과 경쟁하고 협력하면서 정치의 수준을 한 단계 높일 수 있고 총선과 대선에서 연합을 통해 공동의 목표를 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런데 민주당 안팎에서 진보정당의 간판을 내리라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것은 걱정스러운 현상이다. 복지국가론 부상으로 어느 때보다 진보정당의 역할이 필요한 때이다. 진보정당을 부정하는 것이 민주당이 우선해야 할 과제가 될 수는 없다. 민주당을 위한 최선의 길도 아닐 것이다. 각자 체력을 키우고 협력하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 여론몰이로 진보정당 포기를 압박하는 것은 옳지 않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