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적

자동차 ‘빅 스리’

2008.12.01 18:00
김철웅 논설위원

‘빅 스리(3) 법칙’이란 게 있다. 거의 모든 산업에 강력한 3개의 기업이 있다는 말이다. 20세기 초 수백개나 되던 미국 자동차 산업은 1차대전후 포드와 제너럴모터스(GM)가 선두로 부상했다. 여기에 크라이슬러가 합류해 ‘빅 3’ 체제를 구축하면서 1980년대 미국 자동차 시장의 75%를 차지했다. 나이키, 아디다스, 리복 운동화나 맥도널드, 버거킹, 웬디스 햄버거를 비롯해 국내 통신업계의 SK텔레콤, KTF, LG텔레콤 등 그런 예는 널려 있다.

[여적]자동차 ‘빅 스리’

미국 자동차의 ‘빅 3’가 뉴스의 초점이다. 미국 금융위기가 실물경제로 번지면서 ‘빅 3’가 생사의 기로에 처한 것이다. ‘빅 3’의 현실은 참담하다. 시장점유율은 50% 이하로 떨어졌다. 올해에만 300억달러 손실을 기록했고 3개사에서 매달 현금 약 60억달러가 빠져나가고 있다. 업계 1위이자 포천지 선정 세계 500대 기업 중 4위인 GM은 정부 지원 없이는 회생 불가능 상태다. 업계 3위인 크라이슬러도 이대로는 파산을 피하기 어렵다.

10월 미국 내 자동차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31.9%나 줄어 25년 만에 최악이었다. ‘빅 3’의 판매량도 10월 중 38.9%나 감소했다. 사태가 다급해지자 릭 왜고너 GM 회장 등 ‘빅 3’의 최고경영자들은 지난달 상원 금융위원회에 나가 “살려달라”고 읍소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문전박대를 당하다시피 했다. 구제금융을 요청하러 가면서 각자 자가용 비행기를 이용한 것도 비난의 표적이 됐다. 이른바 ‘비올 때’를 대비하지 않고 일본, 독일, 한국 차가 시장에 파고드는 것을 방관하며 경쟁력 제고를 게을리했다는 지적도 나왔다. 뉴스위크는 구제금융에 매달리는 ‘빅 3’를 합병할 때란 방안을 제시했다.

그럼에도 자동차는 미국의 자존심이자 핵심산업이다. 정부나 의회가 경제에 치명타가 될 ‘빅 3’의 붕괴를 그냥 두고 보기만 할 것 같지는 않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 당선자도 이미 부시 대통령에게 자동차 산업에 대한 지원을 요청했다. 금융위기로 인한 7000억달러의 구제금융자금 중 일부를 자동차업계 구제에 쓰자는 것이다. 그런데 여기엔 세계무역기구(WTO) 보조금 협정 위반의 소지가 있다. 관심은 2일 ‘빅 3’가 의회에 제출할 자구안(自救案) 내용과 후속 청문회다. 잘 지켜볼 필요가 있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