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사업, 대기업 독식 지역건설사는 찬밥

2010.10.01 12:04

4대강 사업이 대기업의 배만 불리고 지역 건설사는 오히려 소외시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민주당 전병헌 의원이 1일 조달청으로부터 제출받은 ‘4대강 사업의 공구별 입찰 및 낙찰 현황’을 분석한 결과, 전체 76개 공구 가운데 일괄입찰(턴키)로 발주된 21개 공구를 시공능력기준 상위 50개 건설사가 컨소시엄으로 모두 낙찰받는 등 전체 물량 5조4528억원 중 67.8%인 3조7014억원을 낙찰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실제 컨소시엄을 통한 지분에 따른 ‘4대강사업의 공구별 계약 현황’에 따르면, 지역 경제에 근간을 이루는 지역 토착 건설사(공구가 위치한 광역자치단체에 본사를 둔 회사 기준)의 계약 비율은 38.3%로 2조926억원 수준에 그치는 것으로 집계됐다.

전 의원은 “4대강 사업에 지역 토착 기업이 대거 참여함으로써 지역 경제를 활성화시킬 것이라는 정부의 주장이 민망해졌다”고 지적했다.

전 의원은 특히 “76개 공구 입찰에 참여한 업체 4832개 가운데 실제 계약에 이른 건설사는 264개 수준으로 계약율이 0.5%에 불과하다”며 “그 중 대부분은 대기업 건설사에 편중된 경향이 심하게 나타났다”고 밝혔다.

전 의원은 또 “대기업 건설사간 ‘합종연횡’을 통해 대규모 공구에 대한 ‘나눠먹기, 쪼개먹기’가 이뤄졌다”고 주장했다.

‘30대 건설사 4대강 공구별 수주현황’ 자료에 따르면 일괄입찰이 이뤄진 모든 공구에서 대기업이 대표 건설사로 낙찰받은 것을 기반으로, 총사업비 3162억 원 규모인 ‘한강살리기 3공구(여주1지구) 사업’의 경우 5위 건설사인 대림산업, 11위인 한화건설, 16·17위인 경남기업·한라건설이 컨소시엄을 이뤘다.

또 총 사업비 3000억원 규모의 ‘한강살리기 4공구(여주2지구) 사업’에서는 삼성물산(업계 2위)과 한라건설, 총사업비 3821억 원으로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하는 ‘낙동강 살리기 사업 24공구’는 대우건설(4위)과 코오롱건설(20위)이 각 2101억 원과 382억원을 나눠 먹었다.

전 의원은 “일괄입찰로 인해 4대강 사업 전체로 1조2227억 원의 예산이 더 투입됐다는 국회 예산정책처의 분석처럼, 대규모 공사의 시공능력을 갖춘 대기업들이 나눠먹고 쪼개먹느라 국민의 혈세가 줄줄 4대강 바닥으로 흐르고 있다”라고 말했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