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법재판관 ‘공석’ 기약이 없다

2012.07.01 21:41 입력 2012.07.02 10:29 수정
장은교 기자

지난 2월 ‘야당몫 선출안’ 부결

민주 후보 물색조차 못해

19대 국회 개원과 함께 인사청문회 특위 구성 등 대법관 4명의 인선 절차는 속도를 내게 됐다. 하지만 한 석 비어 있는 헌법재판관 선출은 개원 협상 테이블에조차 오르지 못해 언제 해결될지 기약할 수 없는 상황이다.

민주통합당은 지난해 7월 퇴임하는 조대현 헌법재판관 후임으로 조용환 변호사를 추천했다. 그러나 당시 한나라당과 자유선진당은 “천안함 사고 원인이 북한이라는 정부 발표는 믿지만 (법률가로서) 확신한다고는 답할 수 없다”는 조 후보자의 답변을 문제삼았고, 결국 선출안은 지난 2월 국회 본회의에서 부결됐다.

민주당은 “야당 몫 재판관 선출을 거부하는 것은 유례가 없는 일”이라며 반발했지만 그 후 총선 등에 매여 이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다. 급기야 헌법재판소 김택수 사무처장 등은 지난달 박지원 원내대표 등을 만나 조속한 처리를 부탁했다.

가장 큰 문제는 후보 물색이다. 민주당은 ‘조용환 카드’를 재추진할 것인지도 결정하지 못했다. 이용섭 정책위의장은 1일 서울 여의도에서 열린 기자들과의 오찬간담회에서 “(조 후보자로) 그대로 가자는 의견도 있고, 새 후보를 찾자는 의견도 있다”고 전했다.

시기상으로는 9월 퇴임하는 헌법재판관 4명의 후임 선출과 함께 처리될 가능성이 높다. 4명 중 두 명은 대법원장이 지명하고, 나머지 두 명 중 한 명은 여당에서, 다른 한 명은 여야 합의로 추천하게 된다.

이해찬 대표는 1일 국회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새누리당이 아직 반대하는 태도라면 야당 추천의 의미가 퇴색한다”며 “소수일지라도 약자의 입장을 대변할 사람이 해야 한다는 기본적인 입장을 갖고 깊이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