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위상 높인 ‘G7 회의’ 참석…대중 외교 부담은 커져

2021.06.14 20:58 입력 2021.06.14 21:10 수정

미국과 정상회담 통한 ‘밀착’ 이어서

방국들 중국 견제에 동참 모양새

중국과의 관계 ‘외교적 관리’ 필요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1~13일 영국 콘월에서 개최된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 참석한 것은 국제사회에서 한국의 위상이 높아진 것을 체감하고, 코로나19 팬데믹 국면에서 백신의 생산·보급 과정에 한국이 적극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음을 확인하는 기회가 됐다. 그러나 한·미 정상회담을 계기로 미국과 밀착한 한국이 또다시 서방국가들의 대중국 견제 전선에 동참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경제·안보 측면에서 영향력을 무시할 수 없는 중국과의 외교적 부담은 더 커지게 됐다.

청와대는 한국이 G7 정상회의에 2년 연속 초대된 것은 G7 국가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선진국 반열에 올랐다는 의미라고 자평한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처음 열린 대면 다자 정상회의에 한국이 초청된 것은 세계 10위권 경제대국이자 기술 선도국인 한국의 위상을 평가받는 것이라고 설명한다. 박수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14일 MBC에 출연해 “한국이 사실상 G8에 자리매김한 것 아니냐는 국제적 평가가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보건, 기후변화 등 글로벌 현안 대응에서 한국도 국력에 걸맞은 책임과 기여를 해달라는 국제사회의 요구가 그만큼 커진 것으로도 볼 수 있다. 한·미 정상회담에서 맺은 백신 파트너십을 유럽으로 다변화하는 계기가 마련된 것도 성과로 꼽힌다.

문 대통령은 지난 13일 사회관계망서비스에 1907년 헤이그 만국평화회의 당시 이준 열사가 회의장에도 못 들어간 점 등을 거론하며 “이제 우리 운명을 스스로 결정하고 다른 나라와 지지와 협력을 주고받을 수 있는 나라가 됐다”고 밝혔다.

그러나 서방국가들과의 밀착 강도가 높아질수록 대중관계 관리라는 숙제도 커지고 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미국이 돌아왔다’고 선언하며 첫 해외 순방지로 택한 G7 정상회의의 화두는 대서양 동맹 재건을 통해 대중국 공동전선을 강화하는 것이다. 바이든 대통령이 주도한 G7 공동성명에는 신장지역 인권, 홍콩 자치권, 대만해협, 코로나19 기원 조사 등 중국을 자극하는 이슈들이 담겼다.

공동성명과 함께 채택된 ‘열린사회 성명’의 경우 한국이 초청국 자격으로 이름을 올렸는데, “인권, 민주주의, 법치주의에 대한 공동의 위협에 대응” “개방된 시장에 기초하고 세계무역기구(WTO) 개혁을 통해 경제적 위협에 반대” 등 중국을 겨냥한 것으로 해석되는 내용들을 담았다.

미·중 갈등이 첨예해지는 가운데 한국이 한·미 동맹을 전방위로 확장하고 한·미 정상 간 공동성명에 처음으로 대만 문제까지 명기하자 중국은 “내정 간섭”이라며 불쾌감을 표출한 바 있다. 한국이 또다시 G7 참석을 계기로 미국이 강조하는 가치전선에 동참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중국이 한·중관계에 근본적인 의구심을 제기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앞서 왕이(王毅) 외교 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은 G7 직전인 지난 9일 정의용 외교부 장관과 통화하며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에 강력 반대한다면서 “남의 장단에 따라 끌려가선 안 된다”고 이례적으로 밝힌 바 있다. 한국과 경제적 이해관계가 복잡하고 북한 문제에 영향력이 큰 중국과의 관계가 악영향을 받지 않도록 정교한 외교적 관리가 필요한 상황이다.

정부는 확대해석을 경계하며 진화에 나섰다. 정부 당국자는 13일 기자들과 만나 “(열린사회 성명에) 특정 국가를 겨냥하는 내용은 전혀 없다”면서 “전 세계가 공통으로 직면한 위협에 대해 지도적 위치에 있는 국가들이 공동으로 협력해 시정해보자는 차원”이라고 말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