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윤 대통령, ‘하나의 중국’ 원칙 견지 표명”···한국 정부 발표엔 없어

2024.05.26 19:24 입력 2024.05.26 20:32 수정

신화통신, 윤 대통령이 “‘하나의 중국’ 원칙 견지,

이 같은 입장 변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보도

윤석열 대통령(오른쪽)이 26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리창 중국 국무원 총리와 악수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윤석열 대통령(오른쪽)이 26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리창 중국 국무원 총리와 악수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중국 관영 신화통신은 26일 윤석열 대통령이 리창(李强) 중국 총리와의 회담에서 ‘하나의 중국’ 원칙을 견지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보도했다.

통신은 이날 윤 대통령이 제9차 한·중·일 정상회의 참석차 방한한 리 총리와 용산 대통령실에서 만나 “한국은 ‘하나의 중국’ 원칙을 견지하며, 이 같은 입장은 변하지 않는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이 같은 내용은 한국 측 발표에는 포함되지 않았다.

중국이 내세우는 ‘하나의 중국’ 원칙은 홍콩·마카오와 마찬가지로 대만은 중국의 특별행정구이며, 대만 문제는 중국의 내정(內政)에 속한다는 의미다. 지난해 중국은 윤 대통령의 대만 관련 발언에 대해 강한 불만을 제기한 바 있다.

신화통신에 따르면 리 총리는 “양측은 상호 존중, 개방과 포용, 호혜 상생을 견지해야 한다”며 “한국이 중국과 함께 양국 우호와 상호 신뢰의 큰 방향을 견지하고 서로의 핵심이익과 중대 관심사를 존중하며 서로 신뢰하는 좋은 이웃과 서로 성취시키는 동반자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핵심이익’은 중국이 대만 문제를 지칭할 때 주로 쓰는 표현이다.

리 총리는 “중국과 한국의 산업망과 공급망은 깊이 융합돼 경제무역 협력의 견고한 기반과 거대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면서 “양측은 함께 새로운 분야를 개척하고 협력 범위를 넓히며 더 많은 발전 기회를 거머쥐면서 경제무역 문제의 과도한 정치화와 안보화를 반대하고 양국 및 글로벌 산업망·공급망 안정과 원활한 흐름을 수호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는 미국이 대중 견제 정책으로 한국 등 동맹국을 끌어들여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 재편에 나선 것을 겨냥한 발언이다.

아울러 리 총리는 “중국은 중·한 자유무역협정(FTA) 2단계 협상을 가속화하고 중한(창춘)국제협력 시범구 건설을 추진해 첨단 제조, 신에너지, 인공지능(AI), 바이오의약품 등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하기 바란다”고 말했다. 또 리 총리는 “양측은 지방, 교육, 스포츠, 언론, 청소년 등 분야의 교류를 활성화하고 국민 사이의 상호 이해와 우정을 지속적으로 증진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석열 대통령과 리창 총리는 이날 회담에서 고위급 한·중 외교안보대화를 신설하고, 다음 달 중순에 첫 회의를 열기로 합의했다. 한·중 외교안보 대화는 외교부와 국방부가 참여하는 ‘2+2’ 대화 협의체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