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조태열 장관 중국 방문에 “건설적인 역할 운운…후안무치”

2024.05.16 15:52

박명호 외무성 부상 담화…한·중 협력 ‘견제’

“윤석열호 난파선 수장은 시간 문제”

조태열 한국 외교장관(왼쪽)과 왕이 중국 공산당 정치국 위원 겸 외교부장이 13일 베이징 댜오위타이 국빈관에서 만나 손을 맞잡고 자세를 취했다. 중국 외교부 제공

조태열 한국 외교장관(왼쪽)과 왕이 중국 공산당 정치국 위원 겸 외교부장이 13일 베이징 댜오위타이 국빈관에서 만나 손을 맞잡고 자세를 취했다. 중국 외교부 제공

북한은 조태열 외교부 장관이 중국을 방문한 것을 “케케묵은 청탁과 구걸 외교”라고 비난하며 “우리는 자기의 생명과도 같은 주권적 권리를 절대로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박명호 북한 외무성 부상은 16일 담화를 통해 “중국의 안전권 가까이에 한치한치 근접하고 있는 미국 주도의 반중국 군사 동맹권에 솔선 두발을 잠그고 나선 하수인의 신분으로 중화인민공화국의 수도에 찾아가 그 무슨 ‘건설적인 역할’에 대해 운운한 것은 대한민국의 후안무치함과 철면피성을 극명하게 보여주는 대목”이라며 이렇게 밝혔다.

조 장관이 중국, 미국과의 관계를 제로섬으로 인식하지 않는다고 밝힌 것에 대해서도 박 부상은 “미국이라는 전쟁 마부가 미친 듯이 몰아대는 ‘신랭전’ 마차에 사지가 꽁꽁 묶여있는 처지에 과연 수족을 스스로 풀고 뛰여내릴 용기나 있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고 비판했다.

박 부상은 “한국 외교부 장관의 이번 행각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대한 적대감과 거부감이 병적으로 체질화된 족속들과는 추호도 공존, 공생할수 없으며 조선반도 정세 불안정의 악성 근원과 주되는 병집인 미국과 그에 추종하는 한국이 있는 한 지역의 정세는 언제 가도 안정을 회복할 수 없다는 것을 여실히 보여주었다”고 했다.

박 부상은 “한국 외교관들이 20세기 케케묵은 정객들의 외교방식인 청탁과 구걸외교로 아무리 그 누구에게 건설적 역할을 주문한다고 해도 우리는 자기의 생명과도 같은 주권적 권리를 절대로 포기하지 않을것”이라며 “풍전 촉화의 운명에 처한 ‘윤석열’호 난파선이 수장되는 것은 시간 문제”라고 비난했다.

이번 담화는 북·중·러 연대 결속을 시도하는 북한이 한·중관계 개선을 견제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 교수는 “북한이 조·중 수교 75년을 계기로 중국과의 관계와 사회주의권 연대를 강화하려는 의도를 갖고 있다”며 “여기에 한국이 끼어드는 것에 대한 불편한 심기를 내보인 것”이라고 분석했다. 앞서 지난 13~14일 중국 베이징을 방문한 조 장관은 왕이 중국 외교부장과 회담을 가진 뒤 열린 간담회에서 “왕 부장은 중국의 한반도 정책에는 변화가 없으며 한반도 문제에 대해 중국이 건설적 역할을 하겠다고 약속했다”고 말했다.

정부는 북한 주장에 대해 “일고의 가치가 없다”고 일축했다. 이주일 외교부 부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조 장관은 이번 방중 시 한반도 평화·안정과 북한의 비핵화를 위한 중국의 건설적 역할을 당부했고 중국은 대한반도 정책에 변함이 없다고 했다”며 “우리 정부는 한·중의 공동 이익인 한반도 문제 해결을 위해서 계속 중국 측과 건설적 협력을 모색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