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북·러 회담 관련 “양국 교류·협력 위해 필요”

2024.06.19 18:29

북한을 국빈 방문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19일 평양시 김일성 광장에서 환영식이 열리고 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푸틴 대통령을 행사장으로 안내하고 있다. 평양 AFP연합뉴스

북한을 국빈 방문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19일 평양시 김일성 광장에서 환영식이 열리고 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푸틴 대통령을 행사장으로 안내하고 있다. 평양 AFP연합뉴스

중국은 19일 북·러 정상회담에 대한 한국의 우려와 관련해 “양국의 교류·협력과 관계 발전을 위해 필요하다”고 밝혔다.

린젠(林劍)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19일 정례브리핑에서 중국이 전날 한·중 외교안보대화에서 ‘북·러 교류가 역내 평화·안정에 기여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힌 게 맞냐는 질문에 “조·러(북·러)는 우호적 이웃으로 교류·협력과 관계 발전을 위한 정상적 필요가 있고, 관련 고위급 왕래는 두 주권국가의 양자 간 일정”이라고 답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방북을 앞둔 18일 한·중은 서울에서 차관급 외교안보대화를 진행했다. 한국 외교부는 이날 발표한 보도자료에서 중국 당국자들이 조태열 외교부 장관을 예방한 자리에서 “러·북 간 교류가 역내 평화와 안정에 기여하기를 바란다”고 언급했다고 했다. 그러나 중국 측은 이를 확인하는 질문에 즉답을 피하면서 ‘양자 간 일정’이라는 기존 입장을 되풀이한 것이다.

린젠 대변인은 전날 정례브리핑에서는 “러시아와 북한이 양호한 관계를 유지하는 현 상황을 어떻게 평가하는가”라는 질문에 “우리는 이러한 문제에 답변한 적이 있다”며 “이것은 러시아와 조선(북한) 간의 양자 왕래”라고 했다.

중국은 표면적으로는 ‘양자 간 일정’이라며 거리를 두고 있지만, 북·러 간 밀착이 반가울 수만은 없다. 중국 전문가들은 북·러 연대 이유를 미국 등 외부 탓으로 돌렸다.

왕쥔성 중국사회과학원 연구원은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의 유럽 내 확장과 장기화하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분쟁, 동북아에서 북한을 겨냥한 미국 주도의 군사 동맹을 고려할 때 러시아와 북한 사이의 더 깊은 협력은 놀랄 일이 아니다”라고 중국 글로벌타임스에 말했다. 추이헝 화동사범대 러시아연구센터 연구원도 이 매체에 “러·북 간 의미 있는 협력이 미국을 걱정하게 하거나 심지어 두렵게 만들 수 있다”면서 “이는 지난 수십 년 동안 이 두 나라를 약화·고립시키려 한 미국의 접근이 실패했음을 의미하며, 양국은 이제 서로 더 가까이 서 있고 협력을 통해 전보다 더 강해지고 있다”고 했다.

글로벌타임스는 전문가들을 인용해 “미국 의사결정권자들은 미국이 모든 것을 명령하거나 옳고 그름의 가치에 관한 미국의 패권적 가치를 받아들이게 강요할 수 없음을 깨달아야 한다”며 “미국이 다른 국가들에 더 개입하려 할수록 스스로 세계에 더 큰 약점을 노출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