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항공사들 ‘SOS’

2003.06.01 18:58

국내 항공사들이 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와 이라크전 등의 영향으로 경영난에 직면하자, 인력 및 재무구조 개편 등의 자구노력을 펴는 동시에 정부에 세제지원을 요청하는 등 경영여건 개선에 안간힘을 쏟고 있다.

1일 건설교통부와 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최근 적자노선의 운항횟수를 줄이는 등 운항노선을 수익성 위주로 개편하고 명예퇴직, 무급 휴직제, 해외 영업점 인력축소 등을 통한 인력재배치 등을 골자로 하는 자구계획안을 마련했다.

지난 4~5월 200여명의 명예퇴직을 받은 대한항공은 B747 200F 2대, F100 5대 등 항공기를 매각했고 잉여부품 및 불용자산의 매각도 추진중이다. 또 안전 관련 필수투자 이외의 일반투자 집행을 당분간 유보키로 했다.

아시아나항공도 지난 2월 기내식사업부(캐이터링 서비스)를 매각한 데 이어 보유 항공기 일부 엔진을 매각하고 신규채용 축소 및 시기 연기, 신규투자 금지, 소모성경비 집행유보 연장 등의 자구안을 마련, 시행중이다.

양사는 건교부에 최근 제출한 대정부 지원 요청서를 통해 ▲김포공항 유류시설 사용료 인하 ▲사업용 항공기에 대한 지방세 감면 연장 ▲항공기 취득 및 보유와 관련한 세금 부과 면제 ▲항공유에 대한 관세 및 석유수입 부과금 면제 등을 요청했다.

이밖에 ▲제3자 전쟁책임배상 정부보증 연장 ▲여객보안할증료 부과 연장 등도 건의했다.

항공사들이 이처럼 자구안을 마련하면서 정부에 지원을 요청하고 나선 것은 올들어 심각한 경영난에 직면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은 지난 1·4분기(1~3월) 각각 1천8백억원과 5백95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했다.

항공사들은 이에 따라 현금 유동성 확보를 위해 대한항공이 농협중앙회로부터 매출채권 담보부대출(ABL) 형태로 3천억원을 빌렸고, 아시아나항공도 2천억원 규모의 자산유동화증권(ABS)을 발행하는 등 현금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한편 정부는 항공사들의 지원요청에 대해 이번주 중 관계부처 협의를 거쳐, 구체적인 지원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건교부 유한준 항공정책과장은 “올해 말로 끝나는 취득·재산세 감면과 6월말 끝나는 전쟁책임배상 정부보장 연장 등 항공사에 줄 수 있는 각종 세제지원에 대한 정부안을 마련중”이라고 말했다.

<김종훈기자 kjh@kyunghyang.com>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