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대통령 ‘박희태 체제로’ MB정책 강행

2009.05.01 18:22 입력 2009.05.02 00:05 수정

이명박 대통령이 4·29 재·보선 참패에도 불구하고 ‘그냥’ 밀고나갈 태세다. 한나라당 지도부 교체나 개각, 청와대 인적 개편 등 당·정·청 쇄신 없이 ‘박희태 체제’를 유지하는 쪽으로 방향을 잡은 것이다.

이 대통령과 박희태 한나라당 대표의 오는 6일 청와대 조찬 회동은 이 같은 흐름을 확인하는 자리가 될 것 같다. 이 대통령은 이날 박 대표에게 ‘힘’을 실어주면서 “흔들림 없는 지도력 발휘와 당·정·청 협력”을 당부할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핵심 참모는 “이 대통령이 박 대표에게 책임을 물을 거면 굳이 청와대로 불렀겠느냐”면서 “재·보선에서 나타난 민심을 적극 수용하고 당이 거듭나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면서도 박 대표에게 ‘재신임장’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여권은 ‘박희태 체제’ 개편 불가의 이유로 ‘대안부재론’ ‘국정운영 부담론’ 등을 내세우고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박 대표가 물러나면 ‘정몽준도 지도부인데 왜 책임을 지지 않느냐’는 반발이 나올 수 있다”면서 “박 대표가 그만두면 끝이 아니라 오히려 논란이 확산되면서 당을 추스르는 데만 한달은 족히 걸릴 것”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한나라당 지도체제 개편은 개각론, 청와대 개편론을 연쇄적으로 불러오면서 ‘어렵게 자리잡은’ 국정운영의 추동력만 떨어뜨릴 가능성이 크다는 점도 청와대가 ‘현재대로’로 키를 잡은 동인으로 보인다. 9월 정기국회, 10월 재·보선 일정을 감안하면 정부가 ‘힘 있게’ 일할 시간이 6개월이 안되는 만큼 이 기간에 4대강 살리기, 사교육비 경감 대책, ‘미디어 법안’ 등 국정과제가 추진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설명이 뒤따랐다. 재·보선 참패 결과가 나온 뒤 “좌고우면하지 않고 흔들리지 않고 선진 일류국가의 초석을 놓아가겠다”는 이동관 대변인의 브리핑이 ‘재·보선 이후 이 대통령의 항로’를 담고 있다는 풀이다. 결국 재·보선 결과에 관계없이 현행 여권의 골격을 유지하면서 집권 2년차 국정기조를 밀고나가겠다는 얘기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