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덕룡 “밥은 나누어 먹는 것”

2010.09.01 21:46

대북 쌀 지원 제안… 검토 요청하던 여는 “반대” 선회

정부의 ‘8·31 쌀 종합대책’ 발표 후에도 북한 쌀 지원 논란이 잦아들지 않고 있다. 야당은 물론 여권에서도 북한 쌀 지원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이어지면서다. 넘치는 쌀 재고 해소와 쌀값 유지의 가장 확실한 해법은 북한 쌀 지원이란 판단이 배경이다.

김덕룡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민화협) 상임의장은 1일 민화협 12주년 기념 후원의 날 기념사에서 “천재지변의 홍수를 겪는 북한 주민을 위해 식량지원을 조심스럽게 제안한다”고 밝혔다. 대통령 국민통합 특보인 김 상임의장은 “대북 쌀 지원은 우리 농민을 살리고 북한 주민을 살리는 길이 될 수 있고, 남북관계 경색 국면을 탈피할 결정적 계기가 될 수도 있다”고 제안 이유를 설명했다.

김 상임의장은 “북한의 영·유아 및 임산부 등 취약계층 지원이 절박하고, 형제가 기아로 죽어가는데 외면하는 것은 동족으로서 도리가 아니다. 김지하 시인 말대로 ‘밥은 나누어 먹는 것’ ”이라고 강조했다.

민주당 박지원 원내대표는 이날 비상대책위 회의에서 “정부가 내놓은 쌀 대책은 비효율적”이라며 “형제애를 발휘해서 쌀 50만~60만t을 인도적, 경협차원에서 북에 제공해 농민 시름을 덜어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당초 정부에 대북 쌀 지원 검토를 요청했던 한나라당은 “쌀이 남는다고 함부로 원조할 수 없다”는 쪽으로 발을 빼 엇갈리고 있다. 쌀 지원 현실화가 쉽지 않고, 논쟁이 이어질 수밖에 없음을 예고하는 대목이다.

당 서민정책특위 위원장인 홍준표 최고위원은 이날 최고위원·중진의원연석회의에서 “쌀이 매년 남아 창고 보관 비용이 660억원이 소요된다는데 서민대책위와 당 정책위, 정부가 협의해서 북에 쌀 보내기 운동을 하기 이전에 한국 사회 내의 극빈자를 어떻게 구휼할지 돌아보는 게 순서”라고 주장했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