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 기획-여론조사]“공수처 설치 찬성” 81.9%로 압도적…3명 중 2명은 “공영방송 파업 정당”

2017.10.02 18:33 입력 2017.10.11 10:32 수정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 공약인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설치에 찬성하는 견해가 10명 가운데 8명꼴로 압도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대·거주지역·이념성향을 막론하고 찬성 입장이 반대보다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KBS·MBC 등 공영방송 정상화와 현 경영진 퇴진에는 63.3%가 공감했다. 문재인 정부의 고강도 부동산 대책에 대해서는 절반 이상(51.2%)이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답했지만, ‘효과가 없을 것’(44.4%)이라는 의견도 만만찮게 나왔다.

경향신문이 창간 71주년을 맞아 한국리서치에 의뢰, 지난달 29~30일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대통령·국회의원·판검사 등 고위 공무원의 범죄를 직접 수사하고 기소하는 공수처 설치에 대해 입장을 물은 결과 찬성 의견은 81.9%로 나타났다. 반대 의견은 14.9%에 그쳤다. 찬성 중에서도 ‘매우 찬성한다(48.9%)’가 ‘대체로 찬성한다(32.9%)’를 앞질렀다.

검찰 등 권력기관을 개혁해야 한다는 국민적 열망이 그만큼 크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60세 이상(65.3%), 대구·경북(77.7%), 보수성향(50.7%)에서도 찬성 입장이 과반이었다.

KBS와 MBC 노동조합의 공영방송 정상화 주장 및 경영진 퇴진 요구에 대해서는 ‘정당한 주장이자 적법한 파업’(63.3%)이라는 의견이 ‘지나친 주장이자 불법 파업’(29.0%)의 2배를 넘었다.

노조 파업 지지 의견은 20대(85.2%)·30대(82.6%), 광주·전라(73.6%), 진보성향(80.3%) 그룹에서 높게 나타났다.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 도입 등이 담긴 ‘8·2 부동산 대책’ 등 정부가 내놓은 부동산 정책의 효과에 대한 인식을 묻는 질문에는 견해가 엇갈린 편이었다. ‘효과 있을 것’(51.2%) 응답이 ‘효과 없을 것’(44.4%)보다 많긴 했지만 오차범위를 근소하게 넘긴 정도였다.

특히 ‘효과 없을 것’이라는 응답은 20대에서 50.9%로 가장 높았다. 취업·구직난을 겪으면서도 과도한 주거비를 부담하고 있는 청년층 절망감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효과 없을 것’이라는 응답이 더 많이 나온 지역은 서울(49.7%)과 대구·경북(57.4%)이었다. 8·2 부동산 대책에서 서울 전역이 투기과열지구로 묶였고, 대구 수성구 등은 추가로 과열지구에 지정된 것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도 해석된다.

이번 여론조사는 전국 만 19세 이상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 응답률은 12.7%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