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수증 속 환경호르몬이 비만 위험 높인다

2021.02.10 13:59 입력 2021.02.10 14:29 수정

대표적인 내분비계교란물질(환경호르몬)인 ‘비스페놀A(BPA)’가 성인의 비만 위험도를 높인다는 국내 연구진의 분석이 국제학술지에 실렸다.

한림대학교 강남성심병원 문신제 교수와 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소아청소년과 박미정·김신혜 교수, 서울대 보건대학원 최경호 교수 등 공동연구진은 지난달 15일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츠(Scientific Reports)’에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논문을 발표했다. 연구진은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 제2기(2012∼2014년)와 제3기(2015∼2017년) 조사에 참여한 19세 이상 성인 남녀 1만21명의 체내 BPA 농도와 비만 위험도를 비교·분석한 결과 BPA 농도가 높은 이들의 비만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

.

연구진은 조사 대상자를 소변 중 BPA 농도에 따라 4개 그룹으로 나눈 뒤 비만 위험도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BPA 농도가 가장 높은 그룹이 가장 낮은 그룹에 비해 비만 위험도가 남자는 7%, 여자는 20%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에 따르면 여성과 남성 모두 BPA 노출 정도가 심할수록 비만 위험도도 증가했으며 성별로는 여자가 남자보다 증가 폭이 상대적으로 뚜렷하게 나타났다. 조사 대상자는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 제2기 참여자 6258명(여성 3574명, 남성 2684명)과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 제3기 참여자 3763명(여성 2123명, 남성 1640명) 등이었다.

감열식 티켓에 노출된 과일의 모습. 스페인 그라나다대학 제공.

감열식 티켓에 노출된 과일의 모습. 스페인 그라나다대학 제공.

BPA를 비롯한 환경호르몬은 체내에서 호르몬을 대체해 기능하면서 다양한 악영향을 미치는 물질이다. 비스페놀과 프탈레이트 등 환경호르몬은 주로 플라스틱 제조공정에서 가소제로 사용되는 물질이다. 플라스틱 생산, 소비량이 증가함에 따라 인류 대부분이 이들 물질에 노출된 상태다. 이 가운데 플라스틱 식기, 캔 내부의 코팅제, 감열식 영수증 등에 주로 사용되는 BPA는 매우 낮은 용량에서도 생식기 기형, 비만 등을 일으킬 수 있으며 유방암과 전립선암과도 연관이 있다는 보고들이 나와 있다.

스페인 그라나다대학 등의 연구진은 2019년 1월 국제학술지 환경연구(Environmental Research)에 발표한 논문에서 감열식 영수증이나 티켓 등을 음식에 접촉시켜서는 안 되며 손으로 만지거나 자동차 안, 지갑 등에 보관하는 등의 행동도 삼가야 한다고 경고한 바 있다. 영수증이나 티켓의 BPA에 노출된 이들의 호르몬 균형을 변화시켜 비만, 불임, 생식기능 장애, 암 등의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처럼 BPA의 인체 악영향이 널리 알려지면서 사용을 규제하는 나라들도 늘고 있다.

슈퍼마켓의 감열식 영수증들. 스페인 그라나다대학 제공..

슈퍼마켓의 감열식 영수증들. 스페인 그라나다대학 제공..

업체들도 BPA를 대신하는 물질을 사용하면서 ‘BPA 프리’라고 광고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지만 대체물질인 비스페놀S(BPS), 비스페놀F(BPF), 비스페놀Z(BPZ) 등도 환경호르몬으로서 인체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들이 국내외에 보고됐다.

과거 국내에서 진행된 성인의 BPA 노출과 비만 위험의 관계를 조사한 기존 연구에서는 이번처럼 성인 남녀의 비만과 BPA의 관계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2009년 연구에서는 BPA와 비만 사이에 유의미한 연관성이 없다는 결과가 나왔다.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 제2기를 이용한 2018년 연구에서는 BPA 농도가 여성의 비만 위험과 연관성이 있지만 남성은 그렇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환경과학원이 발표한 이 논문에는 BPA에 노출되면 여성들과 30·40대의 비만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내용이 포함돼 있었다.

박미정 교수는 “BPA는 지방세포의 분화와 지질 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특정 수용체를 활성화해 비만과 당뇨병을 유발할 것으로 여겨지는 물질”이라며 “이번 연구로 성인의 비만과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는 환경보건법에 따라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이 2009년부터 3년 주기로 실시하는 조사다. 지역과 연령 등을 고려해 대표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한 성인, 어린이·청소년, 영유아 등을 대상으로 21개 항목을 임상검사하고, 체내의 오염물질 33종을 분석한다. 최근에는 2018년 7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5700명을 대상으로 조사가 이뤄졌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