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트럼프 6월 첫 ‘맞짱 토론’…대선 조기 과열 전망

2024.05.16 13:26 입력 2024.05.16 14:31 수정

2020년 10월22일 미국 테네시주 벨몬트대학에서 열린 대선 후보 토론에서 도널드 트럼프 당시 대통령(공화당)과 조 바이든 전 부통령(민주당)이 설전을 벌이고 있다. AP연합뉴스

2020년 10월22일 미국 테네시주 벨몬트대학에서 열린 대선 후보 토론에서 도널드 트럼프 당시 대통령(공화당)과 조 바이든 전 부통령(민주당)이 설전을 벌이고 있다. AP연합뉴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다음달 처음으로 ‘맞짱 TV토론’에 나선다. 대선 후보를 공식 선출하는 양당 전당대회 이전에 TV토론이 열리는 것은 사상 처음으로, 두 후보의 경쟁이 조기에 과열되는 양상을 띨 전망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15일(현지시간) 엑스(옛 트위터)에서 CNN의 6월27일 토론 제안을 수락했다고 밝혔다. 9월10일에는 ABC의 주관으로 두 번째 토론을 하기로 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도 “6월과 9월 부패한 조와 두 번 토론할 준비가 돼 있다”며 토론 참여를 확인했다.

이번 토론은 1960년 미 대선에서 TV토론이 처음 시작된 이래 가장 조기에 실시된다. 특히 공화당이 7월, 민주당은 8월 전당대회를 통해 대선 후보를 정식 지명하기도 전에 토론이 열리게 됐다.

토론 개최를 두고 두 사람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기 싸움을 벌였다. 바이든 대통령은 “트럼프는 2020년 두 번의 토론에서 나에게 졌다. 그 이후로 그는 토론에 나타나지 않았다”면서 “(트럼프와의 토론은) 두 번도 하겠다. 수요일이 한가하다고 들었는데 어떤가”라고 말했다. 주중에 수요일 하루만 트럼프 전 대통령의 형사재판이 열리지 않는 점을 꼬집은 것이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바이든은 내가 만나 본 최악의 토론자다. 그는 문장 2개를 이어서 말하지 못한다”고 받아쳤다.

양측이 조기 토론 개최에 전격 합의한 것은 두 후보를 따라다니는 각종 리스크를 돌파하려는 계산도 깔려 있다. 낮은 국정 지지율을 면치 못하는 바이든 대통령은 조기에 트럼프 전 대통령과의 양자 대결 구도를 부각하고 4년 전 트럼프 행정부의 실정을 유권자들에게 상기함으로써 유권자들의 관심을 ‘정부 심판’에서 ‘인물 경쟁’으로 옮겨놓는 것을 기대하고 있다.

사법리스크에 둘러싸인 트럼프 전 대통령의 경우에는 성 추문 입막음 의혹 1심 재판이 완료된 직후 토론이 열리는 만큼 지지층 결집 기회로 삼을 수 있다. TV 토론을 바이든 대통령의 고령과 건강 문제에 대한 유권자들의 우려를 키우는 계기로 만들 수도 있다. 두 사람 모두 첫 토론을 망치더라도 사전투표가 시작되는 9월 이전까지 만회할 기간이 남아있기 때문에 부담도 덜하다.

양측은 지난 수 주 동안 비공식 채널을 통해 토론 방식에 대해 논의해 왔다고 워싱턴포스트는 전했다. 두 캠프 모두 1988년부터 2020년 대선까지 대선 후보 토론을 주관해온 기구인 대선후보토론위원회를 거치지 않고 방송사가 주관하는 방식으로 토론을 여는 데 공감했다고 한다.

토론은 조지아주 애틀랜타에 있는 CNN 스튜디오에서 방청객 없이 진행될 예정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트럼프는 교통수단을 알아서 준비하겠다고 했다. 나는 내 비행기(에어포스원)를 타고 갈 예정이며 이 비행기를 4년 더 탈 것”이라고 말해 ‘현직 프리미엄’을 과시했다고 AP통신은 전했다.

제3 후보인 무소속 로버트 케네디 주니어의 토론 참여는 불발된 것으로 보인다. CNN은 전국 단위 여론조사에서 15% 이상 지지율을 얻은 후보에게 토론 자격을 주고 있지만, 바이든 대통령 측은 트럼프 전 대통령과의 양자 토론일 경우에만 토론에 참여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바이든 대통령은 또한 7월 중으로 공화당 전당대회가 끝난 이후 부통령 후보들끼리의 토론 개최도 제안했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