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고위급 협상서 지재권, 기술이전 문제 관련 합의 도출

2019.02.01 11:05 입력 2019.02.01 14:56 수정

미·중 고위급 협상서 지재권, 기술이전 문제 관련 합의 도출

미국과 중국이 고위급 무역 협상에서 지식재산권 보호와 중국의 미국산 수입 확대 등에 합의했다.

1일 중국 관영 신화통신은 로버트 라이트하이저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류허(劉鶴) 중국 부총리와 각각 이끌고 있는 미·중 협상단이 지난달 30일(현지시간)부터 31일까지 워싱턴에서 고위급 협상을 벌여 이러한 결과를 도출했다고 보도했다.

통신은 “양측 대표는 무역 불균형, 기술 이전, 지적 재산권 보호 등 공동 관심있는 의제와 중국이 관심있는 문제에 대해 솔직하고 구체적이고 건설적인 토론을 했고 중요한 단계성 진전을 이뤘다”면서 “양측은 다음 협상 시간표와 로드맵도 명확히 했다”고 전했다.

양국은 지적재산권 보호와 기술 이전 문제에 대한 협력을 더욱 강화하기로 합의했다. 통신은 “공정한 경쟁의 시장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국의 개혁 개방이라는 큰 방향에 부합한다”며 “중국 측은 미국 측의 요구에 적극적으로 응할 것”이라고 했다.

중국이 미국산 농산물, 에너지, 공업 제품, 서비스 제품에 대한 수입을 크게 확대하기로 했다. 통신은 “중국 경제의 질 높은 발전과 인민의 생활수요를 충족시킬 것”이라면서 이 같이 밝혔다.미국과 중국이 무역 전쟁 종식을 위한 고위급 협상에서 지식재산권 보호와 중국의 미국산 수입 확대 등에 합의하는 등 성과를 도출했다.

이번 고위급 협상에서는 지식재산권 문제에 대해서 합의점을 찾았지만 미국이 강하게 요구해 온 중국 경제의 구조적 문제 개선에 대해서는 합의를 도출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라이트하이저 대표는 기자들과 만나 “상당한 진전을 이뤘지만, 합의하려면 아직 일이 많이 남았다”고 말했다.

류허 부총리는 31일 백악관 집무실을 방문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면담을 갖고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구두 메시지를 전달했다. 이 자리에서 미국산 대두 수입을 크게 늘리겠다고 밝히고, 2월말 열릴 2차 북·미 정상회담에 이어 하이난(海南)에서 미·중 정상회담을 열자고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대통령도 “시 주석과 아마도 한 번 또는 두 번 만날 것”이라면서 “시 주석과 만날 때는 모든 사항이 합의될 것”이라며 미·중 정상회담 계획을 전했다. 미·중 협상단이 2월 베이징에서 무역전쟁 종식을 위한 협상을 이어갈 예정이지만 최종적으로는 트럼프 대통령과 시 주석간의 정상회담에서 결론을 낼 전망이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