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일랜드·노르웨이·스페인, 팔레스타인 국가 인정

2024.05.22 22:50 입력 2024.05.22 22:51 수정

요나스 가르 스퇴레 노르웨이 총리가 22일(현지시간) 오슬로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오는 28일부터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한다는 방침을 밝히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요나스 가르 스퇴레 노르웨이 총리가 22일(현지시간) 오슬로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오는 28일부터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한다는 방침을 밝히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유럽연합(EU) 회원국 노르웨이와 아일랜드, 스페인이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한다고 공식 선언했다.

22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이들 3개국 총리는 이날 각자 기자회견을 열어 1967년 제3차 중동전쟁 이전 경계를 기준으로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공식 인정한다고 밝혔다. 제3차 중동전쟁을 통해 이스라엘은 가자지구, 동예루살렘과 요르단강 서안, 골란고원, 시나이반도 일부를 점령했다.

요나스 가르 스퇴레 노르웨이 총리는 오는 28일부로 팔레스타인을 정식 국가로 인정한다면서 이번 조치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평화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또 “수만명이 죽거나 다친 전쟁 와중에 우리는 이스라엘인과 팔레스타인 주민 모두에게 안전한 조국을 제공할 수 있는 한가지, 즉 서로가 평화롭게 공존하는 두 국가 해법은 살려야 한다”고 취지를 설명했다. 스퇴레 총리는 테러를 저지른 것은 두 국가 해법을 지지하지 않는 하마스와 무장단체라고 선을 그으면서 “팔레스타인에는 독립 국가를 건설할 권리가 있다”고 강조했다.

사이먼 해리스 아일랜드 총리도 “오늘 아일랜드와 노르웨이, 스페인은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기로 발표한다”며 “우리는 각각 이 결정을 유효화하기 위해 필요한 국가별 조처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페드로 산체스 스페인 총리도 의회 연설을 통해 “스페인 내각이 28일 팔레스타인 국가 인정을 승인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스라엘은 즉각 반발했다. 영국 주재 이스라엘 대사관은 엑스(옛 트위터)에 글을 올려 “이날 결정은 테러리즘에 대한 보상”이라고 주장했다. 극우 성향 벤 그비르 이스라엘 국가안보장관은 “이는 살인자들에게 상을 주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스라엘 카츠 이스라엘 외무장관은 노르웨이와 아일랜드 주재 자국 대사에게 즉각 귀환 명령을 내렸다고 밝혔다. 또 스페인 주재 대사에게도 소환 명령을 내릴 것이라고 덧붙였다.

반면 팔레스타인은 이 3국의 결정을 환영했다. 팔레스타인 자치정부(PA)와 하마스 모두 환영 입장을 밝혔다.

193개 유엔 회원국 중 지금까지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한 나라는 139개국에 달한다. EU 내에서는 불가리아·체코·헝가리·폴란드·스웨덴 등 동부·북부 유럽 9개 회원국이 이미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한다. 이날 입장을 밝힌 3국 외에 슬로베니아도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기 위한 절차를 밟고 있어, 다음달 중순 이전까지 확정할 예정이다.

유엔 총회는 지난 10일 팔레스타인이 유엔 헌장에 따라 정회원국으로 가입할 수 있는 자격을 충분히 갖췄다면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에 팔레스타인의 정회원국 가입에 대한 긍정적 재고를 권고하는 결의를 채택했다. 또 팔레스타인에 유엔 총회 회의나 각종 유엔 회의에 참여할 수 있는 예외적인 권한을 부여하기로 했다. 팔레스타인은 현재 ‘옵서버 국가’ 자격을 부여받은 상태다.

다만 유엔 안보리에서는 미국의 반대를 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팔레스타인은 2011년에도 독립국 지위를 얻기 위해 유엔 정회원국 가입을 신청했으나 미국의 반대로 무산됐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