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집트 - 이스라엘, 관계악화 가속

2011.05.01 21:49

가자 봉쇄정책 폐기 등 ‘평화협정 체제’ 불안

무슬림형제단 “9월 총선서 과반석 확보” 선언

호스니 무바라크 이집트 대통령 퇴진 이후 이스라엘과의 관계가 악화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조짐들이 잇따르고 있다. 1979년 이집트·이스라엘 평화협정 폐기, 팔레스타인 및 이란과의 관계 복원 움직임 등이 대표 사례들이다. 여기에 반이스라엘 성향을 보여온 이집트 최대 야권세력인 무슬림형제단이 오는 9월 총선 의석 목표를 과반 확보로 바꾼 것도 양국 관계의 악재가 될 가능성이 있다. 카이로의 시민혁명이 이스라엘과의 관계를 급속히 악화시킬 것이라는 우려가 현실화하는 양상이다.

특히 이집트에서 팔레스타인 가자지구를 연결하는 라파 국경검문소 영구 개방 등 팔레스타인과의 관계 회복 움직임은 이스라엘을 현실적으로 곤혹스럽게 만드는 사안이다. 나빌 알 아라비 외교장관은 지난달 29일 알자지라와의 인터뷰에서 무바라크 정권이 취한 가자지구에 대한 봉쇄정책을 4년 만에 폐기한다고 선언했다. 무바라크 정권은 2007년 6월 이스라엘의 가자지구 봉쇄에 발맞춰 라파 검문소를 폐쇄, 가자지구 150만 팔레스타인인을 경제적 고통 속에 빠뜨려 국제적인 비난을 사왔다.

여기에 압둘라 고랍 석유장관이 지난달 28일 시나이반도 시빌에서 전날 일어난 천연가스 폭발사고로 이스라엘에 대한 가스공급이 중단된 데 대해 보상 거부 방침을 밝힘에 따라 특혜 논란을 불러온 대이스라엘 가스공급 정책이 변화될 가능성도 엿보인다. 이집트는 평화협정에 따라 이스라엘 내수용 가스의 40% 정도를 공급해왔다. 이로 인해 30억~40억달러 상당의 경제적 손실을 입어 중단 요구가 들끓었다. 지난 3월 초 취임한 에삼 샤라프 이집트 총리도 과거 이스라엘에 대한 가스공급 정책을 재고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이집트 - 이스라엘, 관계악화 가속

이집트·이스라엘 평화협정 체결 이후 단절된 이란과의 관계 회복 움직임도 눈에 띈다. 알 아라비 이집트 외교장관은 지난달 27일 인도네시아에서 5월에 열리는 비동맹국 정상회의에서 알리 아크바르 살레히 이란 외교장관을 만나 관계 회복 문제를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달 23일 살레히 장관이 이집트와 자국의 관계 회복은 “용기 있는 조치”라고 말한 데 대한 화답이었다. 이란 관영 IRNA통신은 양국 관계 회복의 첫 조치는 이란~이라크~시리아를 잇는 아랍가스파이프라인을 이집트까지 연결하는 것이라고 전했다.

미국 퓨리서치센터가 지난달 25일 발표한 여론조사 결과도 이집트·이스라엘 관계의 앞날을 어둡게 한다. 조사에 응한 이집트 국민 54%는 이집트·이스라엘 평화협정 폐기를 지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평화협정은 이스라엘로부터 시나이반도를 돌려받고, 미국으로부터 매년 20억달러 원조를 이끌어낸 무바라크의 최대 치적으로 꼽힌다. 하지만 아랍권이 이집트에 등을 돌리는 계기가 됐다. 이집트 임시정부는 평화협정을 준수하겠다는 입장이지만 향후 총선 및 대선 결과 등 국내 정치상황에 따라 언제든지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이집트 최대 이슬람 조직이자 야권세력인 무슬림형제단이 만든 자유정의당의 마무드 모스리 당수는 지난 30일 오는 9월 총선에서 의석의 과반을 점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미국 및 이스라엘의 우려 속에 제도권에 들어오면서 공언했던 ‘의석의 3분의 1’ 선을 넘는 것이다. 미국 국무부가 테러단체로 지목한 무슬림형제단이 국정 장악의도를 분명히 함으로써 향후 이스라엘과의 관계에 악재로 등장할 수 있음을 내비쳤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