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후라는 이데올로기

2014.01.27 21:42
장세진 | 한림대 한림과학원 HK교수

▲ 전후라는 이데올로기 | 고영란·현실문화

[오늘의 사색]전후라는 이데올로기

“1994년 8월은 일본에서 보낸 첫 여름이다. 그해 8월의 충격은 아직도 잊을 수 없다…오키나와전의 비참함, 원폭의 참상, 공습의 흔적 등이 텔레비전 화면에서 중계될 때마다 내게 일본에서 죽은 사람들에 대한 상상력이 없었던 것을 새삼 느낄 수 있었다. 그런데 한국에서 학습된 전쟁을 둘러싼 나의 기억은 착각이었던 것일까. 일본의 텔레비전, 영화, 신문 등 어디에도, ‘한국의 8월’을 떠올리게 하는 잔학무도한 일본 군인은 없었다. 가족을 전장으로 보내고 공습을 견디며, 소중한 혈육을 잃거나, 귀환의 체험을 했던 ‘일본 국민’의 슬픔에 가득 찬 소리만 흘러나왔다. 그 후 내내 8월을 도쿄에서 보냈는데, ‘일본인’이 얼마나 험난한 시대를 보냈는지 세심하게 공들여 묘사하는 드라마는 주인공과 음악만 바뀔 뿐 계속 만들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곳은 ‘우리-일본인’의 슬픔으로 가득 찬 공간일 뿐, 전쟁의 기억을 공유하지 않는 타자가 끼어들 자리는 없었다.”

△ 일본 정치가들은 왜 잊을 만하면 신사 참배나 ‘망언’ 문제로 주변국들의 심기를 불편하게 만들까. 일본의 미디어들은 패전 직후 일본인들의 고생담을 다룬 스토리에 왜 그토록 열광하는 걸까. 이 책은 일본에 관해 누구나 한번쯤 가져봤을 법한 질문을 던지는 가운데 일본인들의 집단적인 심리 기제가 전후 시기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꼼꼼하게 보여준다. 그 핵심에는 역시 미국에 의한 패배, 그중에서도 특히 원폭의 참담한 공포가 거대한 트라우마처럼 놓여 있다. ‘강한 미국’과 ‘약한 일본’이라는 이 고착된 심리 구도 안에, 일본이 승승장구했던 기억이나 과거 식민자로 군림했던 아시아 국가들에 대한 기억이 제대로 자리 잡기란 어려워 보인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