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국역 전담기구 설립을”

2005.11.01 17:41

우리나라의 역대 개인문집을 모은 ‘한국문집총간’ 350권 완간을 기념하는 국제학술대회가 2일 오후 1시 서울 세종문화회관 컨퍼런스홀에서 열린다. ‘동아시아 각국에서의 고전적 정리사업 현황과 전망’이라는 주제로 열리는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한·중·일 학자들이 동아시아의 고전 번역·정리 사업과 과제를 발표할 예정이다.

이날 회의에서 중국 칭화대 류스(劉石) 교수가 ‘중국에서의 고전적 정리사업 현황과 전망’을, 일본 도쿄대 이시우에 에이이치(石上英一) 교수가 ‘일본에서의 고전적 정리사업 현황과 전망’을 각각 주제발표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성균관대 신승운 교수(문헌정보학)가 ‘한국에서의 고전적 정리사업 현황과 전망’을,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김현 교수(한국사)가 ‘한국 고전적 전산화의 발전 방향’을 각각 발표한다.

신교수는 미리 제출한 발표문에서 해방 이후 남한에서 출간된 고전국역서는 1,201종 2,610책이라고 밝혔다. 이를 국역기관·단체별로 보면 국고 지원 번역이 1,390책, 대학이 82책, 문화단체 497책, 출판사 641책으로 국고 지원이 전체의 53%를 차지했다. 국고 지원을 기관별로 보면 민족문화추진회(934책, 66.5%), 세종대왕기념사업회(323책, 23%), 법제처(43책, 3%), 한국학중앙연구원(32책, 2.3%) 순으로 민족문화추진회가 국역을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교수는 “민족문화추진회는 ‘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 ‘일성록’처럼 한국학의 기초 자료가 되는 거질의 문헌을 번역하고 한국문집총간 350권을 완간함으로써 한국인문학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고 평가했다. 신교수는 문집총간 350권의 분량을 책판으로 환산하면 19만8백40장으로 해인사 팔만대장경의 2.3배에 달한다고 밝혔다.

신교수는 그러나 “고전 정리의 중추기관인 민족문화추진회가 기금도, 정부 출연금도 없이 매년 정부의 보조금으로 사업을 수행하는 재단법인으로 고전적 정리사업을 안정적으로 추진하기에는 어려움이 적지 않다”며 특별법 제정을 통한 ‘한국고전국역원’(가칭) 설립을 제안했다. 그는 또 고전의 번역방식, 표기법 등 국역과정에서 생기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고전번역학회’가 결성돼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조운찬기자〉

- 대한민국 새신문! 경향신문, 구독신청(http://smile.khan.co.kr) -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