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구조조정 박차

‘한계기업 솎아내기’ 임박…구조조정 대기업 어디?

2016.05.01 23:11 입력 2016.05.01 23:15 수정

주채무계열 평가 주중 매듭…지난해 11곳보다 늘어날 듯

금융당국이 조선·해양 업종에 이어 이달 중 대기업 등에 대한 재무평가를 마무리짓고 구조조정에 본격적으로 착수한다. 국내외 경기침체로 실적이 악화된 기업들이 늘어나면서 올해 구조조정 기업은 예년보다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1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의 주채무계열 대기업그룹 재무구조 평가가 이르면 이번주에 마무리될 예정이다. 주채무계열 제도는 재무상태가 나빠진 대기업들을 골라내 주채권은행이 재무구조 개선에 관여하는 구조조정 방식이다. 지난 4월 신용공여액이 1조3581억원 이상인 39개 계열기업군이 주채무계열로 선정됐다. 소속 계열사만 4443개에 달한다. 이후 재무평가에서 취약기업이나 부실징후기업으로 분류되면 채권단과 재무구조개선약정·정보제공약정 등을 맺고 채권단으로부터 주기적으로 약정 이행상황 및 자구계획 이행상황을 점검받아야 한다. 2014년에는 14곳을, 지난해에는 11곳을 약정대상 기업으로 선정하고 자본확충, 자산매각, 사업구조 재편 같은 자구계획을 이행토록 한 바 있다. 올해는 구조조정 논의가 급물살을 타는 시점이어서 약정기업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주채무계열 평가와 별도로 금감원은 최근 대기업에 대한 정기 신용위험 평가에도 착수했다. 신용평가는 기업을 A~D의 4개 등급으로 나누고, 이 가운데 C~D등급을 워크아웃(기업 재무구조개선)이나 법정관리(기업회생 절차) 대상으로 분류하는 것이다. 대기업은 7월 초까지, 중소기업은 11월 초까지 구조조정 대상을 선정한다. 지난해에 대기업은 2010년 이후 가장 많은 54곳(상반기 정기평가 35곳, 하반기 수시평가 19곳), 중소기업은 2009년 이후 최대인 175곳이 구조조정 대상으로 분류됐다. 국내외 경기 상황이 점점 나빠지고 있어 올해 C~D등급 기업 역시 지난해보다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다른 기업과 똑같은 재무상황이더라도 취약업종에 속한 기업이라면 더 세밀하게 들여다보고 엄정하게 옥석을 가리겠다”고 말했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