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출산, 정규직·대기업 종사자가 비정규직·중기보다 더 많아

2022.11.03 08:52 입력 2022.11.03 14:49 수정

연합뉴스 자료사진.

연합뉴스 자료사진.

정규직·대기업 노동자의 결혼·출산 확률이 비정규직·중소기업 노동자보다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3일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이 한국노동패널 자료를 토대로 종사자 특성이 결혼과 출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이런 차이가 나타났다.

성별, 연령, 교육 수준, 거주지역, 산업 분야 등 개인 특성이 모두 일정하다고 가정하고 15~49세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비정규직은 한해 100명 중 3.06명이 결혼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반면 정규직은 100명 중 5.06명으로 결혼 확률이 비정규직의 1.65배에 달했다.

규모를 보면 중소기업 종사자는 한해 100명 중 4.23명이 결혼하는 것으로 추정됐으나, 대기업은 6.05명으로 혼인 확률이 중소기업의 1.43배였다.

출산 확률도 정규직은 비정규직의 약 1.89배, 대기업 종사자는 중소기업 종사자의 1.37배로 모두 유사한 차이가 나타났다. 다만 첫째를 출산한 이들을 대상으로 둘째 출산 확률을 분석한 결과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한국은 혼인 외 출산이 흔한 외국과 달리 결혼이라는 제도적 틀과 출산의 관련성이 높아 결혼율과 출산율이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경연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자료를 분석한 결과 결혼을 통한 출산 비중은 OECD 평균이 59.3%인 반면 한국은 97.8%에 달했다. 한국 여성의 첫 출산 연령도 OECD 평균(29.2세)을 웃도는 32.3세였다.

이런 여건을 고려해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려면 출산 장려 정책뿐 아니라 노동시장 이중구조를 해소하고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할 노동개혁이 병행돼야 한다고 한경연은 주장했다. 한경연 관계자는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이중 구조의 핵심 문제는 근로조건과 임금체계인 만큼 중소기업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정책과 함께 임금체계 개편을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