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국민·신한도 합류…은행권 이달내 ELS 자율배상 확정할 듯

2024.03.24 15:22

금융정의연대 등 단체 회원들이 지난 2월 15일 오전 서울 종로구 감사원 앞에서 열린 H지수 ELS 대규모 손실사태 관련 금융당국에 대한 감사원 공익감사 청구 기자회견에서 팻말을 들고 있다.  연합뉴스

금융정의연대 등 단체 회원들이 지난 2월 15일 오전 서울 종로구 감사원 앞에서 열린 H지수 ELS 대규모 손실사태 관련 금융당국에 대한 감사원 공익감사 청구 기자회견에서 팻말을 들고 있다. 연합뉴스

주요 시중은행들이 홍콩H지수 주가연계증권(ELS) 손실 관련 자율배상 방안을 이달 내로 확정할 것으로 보인다. 각 은행은 금융감독원의 분쟁조정 기준안을 수용해 빠르게 배상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은행권 통틀어 약 2조원 규모의 손실이 1분기 실적에 반영될 것으로 전망된다.

신한은행은 빠르면 이번주 후반 임시 이사회를 열고 ELS 손실 자율배상안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24일 밝혔다. 신한은행 이사들은 금감원의 기준안 발표 이후 사전 간담회를 통해 배상 관련 사항을 공유한 상태다. H지수 ELS 판매 규모가 가장 큰 KB국민은행은 지난 13일부터 진행한 H지수 ELS 판매 계좌 8만여개(올해 상반기 만기 도래분) 대상 전수 조사를 이번주 초중반 마무리한다. KB국민은행이 조사 결과에 기반한 자율배상 절차를 확정 짓기 위해 이달 내 임시 이사회를 열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하나은행은 27일, NH농협은행은 28일 임시 이사회를 열고 H지수 ELS 자율배상안을 정식 안건으로 논의한다. 우리은행은 앞서 지난 22일 이사회를 마친 후 시중은행 중 최초로 금감원의 기준안을 수용해 자율배상을 추진키로 했다고 밝혔다.

은행들이 저마다 이사회를 열어 H지수 ELS 배상안을 논의하는 것은 금감원의 분쟁조정 기준안을 수용한다는 뜻이다. 추정한 배상 규모를 충당금 등의 방식으로 1분기 실적에 반영한다는 의미도 담겨 있다.

은행권이 분쟁조정 기준안에 따른 손실 배상으로 올해 1분기에 쌓을 충당금 규모는 약 2조원으로 추정된다. 6개 은행(KB국민·신한·하나·NH농협·SC제일·우리은행)이 판매한 H지수 ELS 상품 중 올해 상반기에 만기가 도래하는 규모는 모두 10조483억원이다. 이중 절반을 손실액(5조242억원)으로 추정하고, 평균 배상비율 예상치인 40%를 적용하면 은행권 배상 규모는 총 2조97억원 정도다. KB국민은행의 경우 1분기 실적에 약 1조원의 H지수 ELS 배상 관련 충당부채를 반영할 것으로 전해졌다.

은행권이 자율배상안 확정에 속도를 내는 데에는 금융당국의 압박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다음달로 예정된 분쟁조정위원회 등 조정 절차가 시작되기 전에 은행이 자율배상에 나서지 않으면 과징금 등 금감원의 행정 제재가 가중될 것이라는 판단 때문이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4월 총선 전에 자율배상안을 마무리 지어야 한다는 당국의 압박을 다들 느끼고 있다”면서 “이왕 배상할 거라면 늦어도 3월 말까지는 확정을 지어야 당국의 제재 결정에 반영될 것이라는 판단이 있을 것”이고 말했다.

우리은행이 지난 22일 자율배상을 먼저 결정한 것이 은행권에 영향을 줬다는 분석도 있다. 다른 시중은행 관계자는 “이미 손실을 입은 투자자가 발생하고 있는 상황에서 배상을 서둘러야 하는 것도 맞지만, 우리은행이 선제적으로 분쟁조정안 수용을 결정한 것 역시 은행들의 결정에 영향을 줬을 것”이라고 말했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