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HBM 반도체, 미국·일본 제조 여부 계속 조사”

2024.05.24 09:43 입력 2024.05.24 10:32 수정

최태원 SK그룹 회장(왼쪽)이 지난 23일 도쿄 제국호텔에서 열린 닛케이 포럼에서 니나미 다케시 산토리홀딩스 사장과 대담하고 있다. SK그룹 제공

최태원 SK그룹 회장(왼쪽)이 지난 23일 도쿄 제국호텔에서 열린 닛케이 포럼에서 니나미 다케시 산토리홀딩스 사장과 대담하고 있다. SK그룹 제공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SK하이닉스가 주도권을 잡고 있는 고대역폭메모리(HBM) 반도체에 대해 한국 내 증산에 더해 추가 투자가 필요한 경우 “일본과 미국 등 다른 나라에서 제조할 수 있는지 계속 조사하고 있다”고 말했다고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24일 보도했다.

최 회장은 전날 닛케이와 한 인터뷰에서 이같이 밝혔다. 최 회장은 또한 “새로운 연구·개발(R&D) 시설 설치나 일본 기업에 대한 투자도 검토한다”고 말했다.

최 회장은 “인공지능(AI) 전용 반도체를 비롯한 첨단 분야 제조에서 일본 공급망과 협력을 빠뜨릴 수 없다”며 “반도체 분야에서 일본의 제조장치·재료 제조업체와 협업과 투자를 한층 더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 회장은 SK하이닉스가 간접 출자한 일본 반도체 기업 키옥시아(옛 도시바메모리)와 관련해서는 “투자자로서 키옥시아의 성장을 바란다”며 원론적인 언급을 했다.

지난해 키옥시아와 미국 웨스턴디지털 간 경영통합 협상은 SK하이닉스의 반대로 무산된 바 있다. 비슷한 시기에 SK하이닉스가 키옥시아에 HBM을 일본에서 생산하는 협업 방안을 타진했다는 내용이 현지 언론에 의해 보도된 바 있다.

최 회장은 중국에서 가동 중인 SK하이닉스의 반도체 공장에 대해서는 “중국에서의 사업은 효율적으로 유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 회장은 전날 도쿄 제국호텔에서 ‘아시아의 미래’를 주제로 열린 닛케이 포럼의 패널 토론자로 참가했다. 그는 이 자리에서 “한국과 일본 협력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이제 양국은 사고를 전환해 서로를 경쟁국이 아닌 협력 대상국으로 인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