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환대출 금리 대폭 낮춘다

2003.10.01 00:51

국민은행이 카드 관련 신용불량자들에 대한 대환대출 금리를 한자릿수로 대폭 낮추는 방안을 추진중이다. 대환대출이란 카드 연체금을 장기대출로 전환해주는 것으로, 현재 카드사와 은행들의 대환대출 금리는 25% 안팎으로 높은 데다 신용불량자에게는 대환대출 자체를 기피하고 있어 실질적인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다.

국민은행과 국민카드의 카드 부실채권 관리를 맡은 이시영 카드채권관리본부장(부행장)은 30일 “현재 20%가 넘는 대환대출 금리로는 아무리 장기분할 상환대출을 해줘도 신용불량자들에겐 부담”이라며 “신용불량자를 실질적으로 구제할 수 있도록 금리를 한자릿수로 낮출 방침”이라고 말했다. 국민은행은 소득수준이나 상환기간 등에 따라 1~2%의 가산금리를 부과하는 방안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부행장은 그러나 “기존의 대환대출로 처리할 경우 자산건전성 측면에서 은행에 지나친 부담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신용회복차원에서 이뤄지는 대환대출을 정상여신으로 분류하는 방안을 금융감독원과 협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현재의 신용불량자 문제가 개인뿐 아니라 은행·카드사 등 금융회사, 감독기관 등 3자 모두에 일정부분 책임이 있기 때문에 개인은 상환의지를 확실히 담보하고, 은행은 원리금 감면 등 일정부분 손실을 감수하며, 대신 금융감독기구도 신용회복 지원차원에서 이뤄지는 은행의 대환대출에 한해 규제를 풀어주도록 요구한다는 것이다.

국민은행은 1차로 다른 카드나 은행의 연체없이 국민카드와 국민은행의 자체 신용불량자 중 연체금이 5백만원 미만인 13만여명을 대상으로 시행할 방침이다. 이부행장은 “이들은 평균 3백50만원의 연체금을 갖고 있는 것으로 파악돼 은행이나 카드사들이 조금만 도와주면 신용회복이 가능한 수준”이라고 말했다.

이부행장은 또 “추후 국민은행이나 국민카드 자체 신용불량자 외에 다른 은행 1~2곳에도 연체됐을 경우 개별 은행과의 협의를 통해 대상을 확대해나갈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가령 자체 신용불량자 외에 국민은행+농협, 국민은행+하나은행의 신용불량자도 은행장끼리 개별 협약을 맺어 신용회복지원에 나선다는 것이다. 이같은 방안이 다른 은행이나 카드사에 확대 시행될 경우 신용불량자 구제에 상당한 도움이 될 전망이다.

현재 전체 신용불량자 3백40여만명 중 금융회사 1곳에서만 1천만원 미만의 빚을 진 소액 신용불량자는 전체의 23.5%가량인 80여만명에 이른다. 이부행장은 “금융감독원에서 이같은 방안을 받아들이면 10월 중에 시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길근기자 mini@kyunghyang.com〉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