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 아버지’ 올트먼 품은 MS…AI 개발 경쟁 주도권

2023.11.21 13:57 입력 2023.11.21 16:20 수정

샘 올트먼 영입에 주도권 잡은 MS

주가 2%대↑···52주 신고가 기록

‘AI 붐’ 오픈AI는 존립 걱정 위기도

샘 올트먼(왼쪽) 전 오픈AI 최고경영자(CEO)와 사티아 나델라 마이크로소프트 CEO. AP 연합뉴스 자료사진.

샘 올트먼(왼쪽) 전 오픈AI 최고경영자(CEO)와 사티아 나델라 마이크로소프트 CEO. AP 연합뉴스 자료사진.

생성형 인공지능(AI)의 시초 ‘챗GPT’를 만든 오픈AI의 전 최고경영자(CEO) 샘 올트먼이 마이크로소프트(MS)로 이동하면서 AI 산업 전반에 지각변동이 일어나고 있다. MS는 오픈AI의 핵심 인력 영입으로 경쟁에서 주도권을 갖게 된 반면, AI 붐을 일으킨 오픈AI는 존립을 걱정해야 할 위기에 처했다. 그간 경쟁에서 뒤졌던 구글과 메타 등은 이번 혼란을 틈타 추격의 발판을 마련했다.

정보기술(IT) 업계는 지난 17일 오픈AI 이사회의 올트먼 해임 발표 후 사흘간의 혼돈 끝에 올트먼의 거취가 정해지자 이번 사태로 MS가 가장 큰 이득을 봤다고 평가했다. IT 전문 매체 테크크런치는 “오픈AI를 둘러싼 총성 없는 전쟁에서 진정한 승리는 MS로 돌아가게 됐다”며 “MS가 나중에 더 높은 가격에 훨씬 더 많은 규제를 뚫고 사들여야 하는 것을 일찍 얻게 됐다”고 분석했다.

MS는 올트먼과 오픈AI 이사회 의장이었던 공동 창업자 그레그 브록먼, 익명의 동료들이 자사에 합류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사티아 나델라 MS CEO도 20일(현지시간) 엑스(옛 트위터) 계정을 통해 “샘 올트먼과 그레그 브록먼이 동료들과 합류해 새로운 AI 연구팀을 이끌게 된다는 소식을 공유해 매우 흥분된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MS가 올트먼을 따르는 수많은 직원을 영입함으로써 오픈AI의 지적 재산과 기술 인력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MS는 오픈AI의 지분 49%를 보유한 최대주주이지만, 오픈AI를 전적으로 소유하거나 통제할 수 없었다. 오픈AI는 비영리 이사회가 지배해 MS가 목소리를 내기 어려운 상황이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인재 영입으로 오픈AI의 가치를 규제 장애물과 싸우지 않고 획득해 AI 개발의 운전대를 쥐게 됐다.

이를 반증하듯 MS 주가는 사상 최고치를 찍었다. 이날 MS 주가는 전 거래일보다 2.05% 오른 377.44달러(약 48만8596원)로 마감했다. 종가 기준 역대 최고치로 장중에는 378.87달러(약 49만447원)까지 치솟아 52주 신고가를 기록했다.

이번 사태로 AI 생태계에도 변화가 생길 것으로 보인다. 구글, 메타, 아마존 등 AI 경쟁에서 상대적으로 뒤쳐졌던 빅테크들은 선두 기업들을 따라잡을 기회가 생겼다. 이들 회사가 오픈AI를 이탈하는 핵심 인력을 데려갈 수 있다는 전제에서다.

반면 내홍에 휩싸인 오픈AI는 공중분해 위기에 처했다. 오픈AI에서는 올트먼 복귀와 이사회 사임을 요구하는 연판장에 서명한 직원이 700명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이사회 멤버들이 사임하지 않을 경우 올트먼을 따라 회사를 떠나겠다며 초강수를 던졌다. 직원들의 움직임이 현실화하면 최악의 경우 회사는 해체 수순에 돌입할 수밖에 없다. 오픈AI 투자자들도 여전히 올트먼의 복귀를 추진하고 있다. 이들은 이사회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앞서 ‘챗GPT의 아버지’로 불리는 올트먼은 지난 17일 오픈AI 이사회에서 전격 해임됐다. 이사회는 해임 배경에 대해 “올트먼이 지속적으로 소통에 솔직하지 않아 이사회가 책임을 다하는 데 방해가 된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밝혔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