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랑 끝 가스공사 “조속한 요금 인상 절실”

2024.05.22 21:49 입력 2024.05.22 21:50 수정

민수용 도시가스 미수금 최대 난제

최연혜 사장 “자구책만으론 불가”

최연혜 한국가스공사 사장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촉발된 국제 천연가스 가격 급등과 환율 상승 등으로 재무적 위기를 크게 겪고 있다며 조속한 요금 인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최 사장은 22일 세종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현재 미수금 규모는 전 직원이 30년간 무보수로 일해도 회수할 수 없어 마치 벼랑 끝에 선 심정”이라고 말했다. 최 사장은 “극단적 상황을 막고자 모든 수단을 가동하고 있으나 자구 노력만으로는 해결이 불가능하다”고 했다.

가스공사 자료를 보면, 2022년 이후 국제 액화천연가스(LNG) 가격은 약 200% 상승했지만 국내 가스요금은 약 43% 인상되는 데 그쳤다. 현재 도시가스 원가율은 여전히 80% 수준으로, 가스공사가 1억원어치 가스를 공급하면 2000만원가량 손해가 난다는 뜻이다.

가장 큰 숙제는 민수용(주택용과 소상공인의 일반용) 도시가스 미수금이다. 민수용 도시가스 미수금은 올해 1분기 기준 13조5000억원으로, 연말까지 최소 14조원에 이를 것으로 가스공사는 전망했다. 최 사장은 “현재 차입으로 살림을 꾸려가고 있는데 이자 비용만 하루 47억원에 달한다”며 “이자 비용이 늘어나면 이는 다시 요금 상승 요인이 돼 결국 국민 부담으로 이어진다”고 말했다.

미수금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요금 인상이 절실하다고 최 사장은 강조했다. 지난해 5월 민수용 요금을 MJ(메가줄)당 1.04원(약 5%) 올렸다. 가스요금을 매달 10만원 정도 내는 가구라면 5000원가량 올랐다.

하지만 이 같은 인상폭은 미수금 해결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 수준이라고 가스공사는 설명했다. 1원을 높이면 전체 미수금의 3.7%인 약 5000억원만 줄어든다.

최 사장은 “5월 요금 조정을 손꼽아 고대했으나 민생 안정을 위해 동결됐다”며 “도시가스 요금 인상으로 인한 국민 체감도는 겨울철에 훨씬 높아질 수밖에 없어서 수요가 적은 여름철 요금을 인상하고 단계적으로 연착륙시킬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