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개월 만에 또 저커버그 만난 이재용 “AI 분야 협력”

2024.06.13 21:38 입력 2024.06.13 21:41 수정

메타 AI 칩 ‘MTIA’ 수주 가능성

아마존·퀄컴 등 수장 잇따라 만나

지난 11일(현지시간)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왼쪽)이 미국 캘리포니아주 팔로알토에 위치한 마크 저커버그 메타 최고경영자(CEO)의 자택에서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삼성전자 제공

지난 11일(현지시간)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왼쪽)이 미국 캘리포니아주 팔로알토에 위치한 마크 저커버그 메타 최고경영자(CEO)의 자택에서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삼성전자 제공

미국을 방문한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메타·아마존·퀄컴 등 글로벌 빅테크 수장들을 잇달아 만나 인공지능(AI)과 반도체·스마트폰·통신·증강현실 등 광범위한 사업 협력을 논의했다.

13일 삼성전자에 따르면 이재용 회장은 지난 11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팔로알토에 위치한 마크 저커버그 메타 최고경영자(CEO)의 자택에서 단독 미팅을 가졌다. 지난 2월 저커버그 CEO 방한 이후 4개월 만에 다시 만난 것으로, 두 사람은 AI와 가상현실·증강현실 등에서의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메타는 삼성전자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부문의 잠재 고객사다. 자체 거대언어모델(LLM) ‘라마’를 훈련시키는 용도로 지난해 AI 반도체 ‘MTIA’를 처음 선보였다. 대만 파운드리 TSMC가 MTIA를 생산하고 있는데 업계에서는 메타가 이 물량 일부를 삼성전자로 돌릴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이튿날인 12일 이 회장은 시애틀 아마존 본사에서 앤디 재시 아마존 CEO를 만났다. 두 사람은 생성형 AI와 클라우드 컴퓨팅 등에 대한 전망을 공유하며 추가 협력을 논의했다. 아마존은 계열사 아마존웹서비스(AWS)의 클라우드 사업에 AI 서비스를 접목하기 위해 공을 들이고 있다. 자체 AI 반도체 ‘트레이니움’을 만들어 쓰고 있으며, 여기에는 삼성전자의 고대역폭메모리(HBM)가 탑재된다.

이 회장은 지난 10일에는 크리스티아누 아몽 퀄컴 CEO도 만나 AI 반도체와 차세대 통신칩 등의 협력을 논의했다. 이 회장은 퀄컴뿐만 아니라 다른 미국의 팹리스(생산라인 없는 반도체 설계사) 기업들과도 만나 파운드리 사업을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삼성전자는 최근 반도체 사업에서 과거 ‘초격차’로 대변되던 경쟁력을 잃었다는 안팎의 평가를 받고 있다. 이 회장의 미국 출장은 메모리·파운드리 사업에서 돌파구를 마련하려는 행보로 해석된다. 지난달 31일 출국해 2주간의 일정을 마무리한 이 회장은 임원들에게 “삼성의 강점을 살려 삼성답게 미래를 개척하자”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이달 말 주요 경영진이 참여하는 ‘글로벌 전략회의’를 열 예정이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