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8.5% 오를 때 식료품·음료 16% ‘껑충’

2013.08.01 08:12 입력 2013.08.02 00:01 수정
오창민·박재현 기자·최병태 선임기자

지표물가와 따로 노는 체감물가… 3년5개월 통계 뜯어보니

물가가 안정되면 그만큼 살림살이가 좋아져야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정부가 발표하는 공식 물가상승률은 1%대로 낮지만 서민·중산층의 물가 고통은 여전하다. 시민 10명 중 4명이 살림살이를 힘들게 하는 요인으로 ‘체감물가’를 꼽았다.

1일 통계청의 ‘2013년 7월 소비자물가동향’ 자료를 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1년 전보다 1.4% 올랐다. 소비자물가는 지난해 11월 1%대에 진입한 이후 올해 1월 1.5%, 2월 1.4%, 3월 1.3%, 4월 1.2%, 5월과 6월 1.0% 등으로 안정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처럼 낮은 물가상승률을 대부분의 시민들은 피부로 느끼지 못하고 있다. 이날 현대경제연구원이 낸 ‘가계 살림살이의 현주소와 시사점’ 보고서를 보면 전국 20세 이상 성인 남녀 1012명을 상대로 조사한 결과 ‘생활수준이 전보다 높아졌다’는 응답은 8.1%에 불과했다. 반면 ‘생활수준이 전보다 낮아졌다’는 응답은 31.0%, ‘전과 비슷하다’는 응답은 60.9%였다. 살림살이를 힘들게 하는 요인은 ‘체감물가’라는 답변이 39.2%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자녀교육 부담’(18.1%), ‘수입 감소’(16.3%), ‘주거비 부담’(10.8%), ‘일자리 불안’(8.4%) 등의 순이었다.

물가 8.5% 오를 때 식료품·음료 16% ‘껑충’

체감물가가 높은 이유는 의식주 등 생필품 관련 물가지수 상승률이 소비자물가 상승률보다 훨씬 크기 때문이다. 소비자물가지수는 2010년 1월부터 올해 6월까지 8.5% 상승했지만 같은 기간 의류·신발 물가는 11.7%, 식료품·음료는 16.4%, 주택·수도·전기·연료는 14.0% 올랐다.

교육비 부담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경제연구원 조사 결과 무상급식, 보육비 지원, 대학등록금 융자 등 정부의 각종 지원에도 불구하고 ‘자녀교육 부담이 줄었다’는 응답은 8.4%에 불과했다. ‘변함없다’는 73.7%, ‘오히려 늘었다’는 17.9%였다. 실제로 학원비 등 교육비는 여전히 고공행진하고 있다. 한국은행 통계를 보면 고등학생 학원비는 지난 6월 5.8%, 중학교 학원비는 4.6% 상승했다.

전세가격도 꺾이지 않고 있다. 이날 국민은행이 발표한 자료를 보면 7월 서울의 주택 전세가격은 전달에 비해 0.52% 상승했다. 2011년 10월(0.86%) 이후 21개월 만에 최대 상승폭이다.

김동렬 현대경제연구원 기업정책연구실장은 “지표 물가가 1%대에 있다고 정부가 물가 관리에 소홀해선 곤란하다”고 말했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