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대아파트서 ‘출발!내집 마련’

2003.02.02 18:58

아파트값이 약세를 보이면서 일단 입주해 살면서 나중에 분양 받을 지를 결정할 수 있는 ‘5년 임대’ 아파트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5년 임대는 일단 임대계약을 한 후 5년이 지나면 임대자에게 소유권이 이전(분양)되는 아파트로 주택공사나 중견 건설업체들이 주로 짓고 있다. 건설업계에 따르면 올해 서울·수도권에서 분양될 5년임대는 약 2만가구. 주택공사가 1만4천여가구를 내놓을 예정이며 민간 건설업체들도 경기 용인 동백지구, 용인 죽전지구 등 수도권 요지에서 비교적 많은 물량을 공급할 예정이다.

◇‘5년 임대’의 장점=5년 임대의 최대 장점은 나중에 아파트를 살지, 말지를 결정할 수 있다는 점이다. 초기 자금부담이 적다는 것도 장점으로 꼽힌다.

주공 5년 임대의 경우 평균적으로 임대료가 주변 다른 아파트 임대료의 80% 수준. 5년후 분양전환가도 시세보다는 낮은 것이 일반적이다. 일단 싼 임대료로 입주해 살다가 5년후 아파트값 추이에 따라 분양을 받든지, 아니면 포기할 수도 있다. 주공 5년 임대는 보통 분양을 받은 후 1년6개월 정도면 입주할 수 있다. 5년간 살아야 하지만 전근이나 질병, 해외 이민 등의 사유가 있을 경우 주택공사의 승인만 받으면 다른 사람에게 재임대할 수도 있다.

민간에서 짓는 5년 임대는 원칙적으로 5년이 지나야 분양전환이 가능하지만 임대후 30개월이 지날 경우 입주자가 요구하면 분양으로 전환할 수 있다. 민간임대의 경우 인기가 높아 상당수 건설업체들이 초기 임대료를 높게 잡아 임대료가 만만치 않다. 주변 아파트에 비해 분양전환가가 상대적으로 낮아 시세차익을 겨냥한 수요가 많은 편이다.

◇분양물량=주택공사가 올해 분양할 5년 임대 아파트 가운데 절반이 넘는 7,500여가구가 수도권에 몰려 있다. 주공의 5년 임대는 대부분 생활편익시설이 잘 갖춰지는 대규모 택지개발지구에 있다. 이중 인천 삼산1-1지구와 고양 풍동지구, 포천 송우지구는 물량이 많아 관심이 높다.

삼산지구에서는 오는 9월쯤 1,873가구가 분양된다. 삼산지구는 전체 면적이 36만평으로 모두 9,300여가구가 들어선다. 부천 상동지구, 인천 삼산2지구 등이 가깝고 생활편익시설이 잘 갖춰져 있다.

풍동지구에서는 11월쯤 2,039가구가 분양된다. 일산 신도시 북동쪽이며 서울 북부지역과 연계되는 310번 지방도가 지나고 서울외곽순환도로, 자유로로 쉽게 연결된다.

송우지구는 의정부시에서 북동쪽으로 10㎞ 정도 떨어진 곳으로 아파트 6,000여가구가 들어설 예정이다. 43번 국도와 56번 지방도 등이 통과해 서울과 양주, 의정부 등 인근 도시로 드나들기 쉽다.

이와 함께 부천 소사2지구는 소사1지구(2,600여가구), 범박동 재개발구역(5,000여가구)과 가깝고 전철 1호선 소사역을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민간업체 중에서는 모아건설이 용인 동백지구에서 25평형 단일평형으로 1,190가구를 분양할 계획이다. 모아측은 용인 동백지구에 대한 사업승인이 나면 곧바로 분양할 방침이다. 영동고속도로 마성터널 바로 아래에 위치한 동백지구는 서울 도심에서 남동쪽으로 약 35㎞ 정도 떨어져 있으며 1만6천여가구가 건설된다.

용인 죽전지구에서도 우미산업개발과 모아건설이 3월초쯤 25평형 5년 임대 707가구와 286가구를 각각 분양할 계획이다.

◇신청자격=주공 5년 임대는 청약저축에 가입해야 한다. 무주택가구주로 청약저축(월 2만~10만원)에 가입한 뒤 24개월치 이상을 내면 1순위, 6개월 이상 납입하면 2순위, 나머지는 3순위다. 수도권의 경우 대부분 1순위에서 분양이 끝난다.

민간이 짓는 5년 임대는 유형에 따라 신청자격이 달라진다. 국민주택기금을 지원받아 짓는 민간임대의 경우에는 주택공사의 청약기준이 적용된다. 반면 국민주택기금을 지원받지 않은 순수 민간임대는 업체가 청약기준을 자율적으로 정할 수 있다. 모아건설의 용인 동백·죽전지구 아파트, 우미산업개발의 죽전지구 아파트는 순수 민간임대 아파트다.

그러나 순수 민간임대의 경우도 건설업체들이 과열청약을 막기 위해 올해부터는 청약저축이나 청약부금 가입자를 대상으로 신청을 받는 방안을 검토중이다. 건설교통부도 하반기부터 민간임대에 대해서 청약기준을 대폭 강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김화균기자 khk@kyunghyang.com〉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