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세입자 10가구 중 4가구, 월급 30% 이상 주거비로 썼다

2017.05.01 10:44 입력 2017.05.01 20:33 수정

서울에 사는 세입자 10가구 중 4가구 꼴로 월급의 30% 이상을 주거비로 부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서울 전체 10가구 중 1가구, 특히 혼자 사는 가구는 10가구 중 2가구 꼴로 반지하·쪽방, 판자촌 등에 살고 있다. 한편 연간 소득을 한 푼도 안 쓰고 꼬박 8년 넘게 모아야 중간 수준의 서울 집을 살 수 있다는 계산이 나왔다.

폭염이 계속된 지난해 8월9일 서울 후암동의 쪽방촌에서 한 거주자가 선풍기를 틀어놓은 채 더위를 식히고 있다.   서성일 기자 centing@kyunghyang.com

폭염이 계속된 지난해 8월9일 서울 후암동의 쪽방촌에서 한 거주자가 선풍기를 틀어놓은 채 더위를 식히고 있다. 서성일 기자 centing@kyunghyang.com

국토연구원의 ‘2016년도 주거실태조사’ 결과를 1일 살펴보면, 서울에서 세들어 사는 10가구 가운데 4가구는 소득 대비 주거비 부담이 지나치게 높게 조사됐다.

지난해 서울 지역 세입자 가운데 월 소득 30% 이상을 주거비로 지출하는 경우가 40%나 됐다. 일반적으로 월 소득 대비 임대료 비율(RIR)이 30%가 넘으면 과다한 수준으로 본다.

특히 홀로 사는 노인은 임대료가 소득의 절반 수준일 정도로 주거비 부담이 더 컸다. 노인 1인 가구 RIR이 중위수(한 줄로 세울 때 가운데 값) 기준 50.3%에 달한다. 서울 전체 세입자의 RIR은 22.2%인 데 비해 이는 지나치게 높은 수준이다.

또한 서울 전체 가구 중 지하·반지하· 옥탑방(8.9%)과 쪽방(1.2%), 판자촌 등에 사는 주거취약가구가 10%가 넘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1인 가구 중 지하·반지하·옥탑방 등에 사는 주거취약가구 비율이 20.9%에 달한다. 그 중에서도 중장년 1인 가구는 4명 중 1명꼴로 더 열악한 환경에 거주했다. 또 청년 미혼가구는 15.4%, 장애인은 14%가 주거취약가구로 분류됐다.

자료: 국토연구원 ‘2016년 주거실태조사’

자료: 국토연구원 ‘2016년 주거실태조사’

지난해 서울에서 생애 첫 집을 사는 데 걸린 기간은 평균 8년이었다. 전국 평균 6.7년보다 1년 이상 길다.

지난해 기준 내 집을 장만하기까지 평균 4차례 이사를 했다. 현재 주택에 거주한 기간은 2년 미만이 30%에 달했다.

서울의 집 값은 연 소득 대비 8배 이상 높다. 연 소득 대비 주택가격 비율(PIR)이 중위수 기준 8.3배다. 월급을 안 쓰고 꼬박 8년 넘게 모아야 중간 가격 수준의 서울 집을 살 수 있다는 뜻이다. 전국 PIR은 5.6배이고, 전북(3.3배)과 전남(3.4배)은 서울의 절반 이하다. 자가 점유 비율은 42%다.

조사 대상의 70%는 주택임차료와 대출금 상환을 부담스러워했다. 또한 10가구 중 4가구 이상은 방음상태가 불량이라고 호소했다. 빛이 잘 들어오지 않는 채광 불량 주택은 21.6%였다.

주차시설 이용이 불편하다는 답이 33.8%에 달했다. 주거환경 중 소음과 대기오염 관련 불만족이 각각 34.8%, 25.5%였다. 교육환경 불만은 18.1%다. 재난, 재해나 화재 등 안전 대비에 불량한 경우가 각각 14.8%, 17.3%였다. 이웃과 유대감에는 90% 이상이 만족해했다.

한편, 서울 아파트의 중위가격(매매가를 순서로 세울 때 한 가운데 값)이 처음 6억원을 넘어섰다.

KB국민은행이 지난달 30일 발표한 월간주택가격 조사를 보면 4월 서울 아파트 중위가격은 6억267만원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달(5억9916만원)보다 0.58%(350만원) 오른 것이다. 관련 조사가 진행된 2008년 12월 이래 처음으로 6억원대에 올라섰다.

강남권이 포함된 한강 남부 11개 구의 아파트 중위가격은 7억4561만원으로 3월보다 0.69% 올랐다. 한강 북부 14개 구의 아파트 중위가격은 3월 대비 0.36% 오른 4억3447만원으로 강남 11개 구보다 3억원 이상 낮다. 전국의 아파트 중위가격은 3억548만원으로 3월보다 0.30% 상승했다.

최은영 한국도시연구소 연구위원은 “주요 후보들이 임대주택 공급을 강조하지만 대선 이후에 제대로 실행할지는 지켜봐야 한다”며 “공공임대를 늘리는 동시에, 임차인 집수리를 지원해주는 등 난방·부엌·화장실 등이 열악한 민간 임대주택의 질을 높이는 정책도 요구된다”고 지적했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