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대 금융지주, 시장 안정 위해 연내 95조 유동성·자금 지원

2022.11.01 10:01 입력 2022.11.01 15:43 수정

금융위원장 “DSR 완화는 신중해야”

김주현 금융위원장(가운데)과 5대 금융지주(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회장들이 1일 서울 명동 은행연합회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조용병 신한금융 회장, 손태승 우리금융 회장, 윤종규 KB금융 회장, 김 위원장, 김광수 은행연합회장, 함영주 하나금융 회장, 손병환 NH금융 회장. 이미지 크게 보기

김주현 금융위원장(가운데)과 5대 금융지주(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회장들이 1일 서울 명동 은행연합회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조용병 신한금융 회장, 손태승 우리금융 회장, 윤종규 KB금융 회장, 김 위원장, 김광수 은행연합회장, 함영주 하나금융 회장, 손병환 NH금융 회장.

5대 금융지주(KB·신한·하나·우리·NH)가 시장 안정을 위해 연말까지 95조원 규모의 유동성과 계열사 자금 지원에 나선다. 대규모 은행채 발행으로 은행이 시중 자금을 빨아들이면서 채권시장 경색이 나타났다는 지적이 나오고, 이같은 자금시장 악화는 금융기관의 건전성에도 타격을 줄 수 있는 만큼 은행 역시 책임을 나눠야 한다는 판단에 따른 조치로 풀이된다.

5대 금융지주 회장들은 1일 서울 명동 은행연합회에서 김주현 금융위원장과 한 간담회에서 시장 유동성 공급 확대 73조원, 채권시장안정펀드(채안펀드)와 증권시장안정펀드(증안펀드) 12조원, 지주 그룹 내 계열사 자금 공급 10조원 등으로 시장 안정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세부적으로는 은행채 발행을 최대한 자제해 채권 투자 자금이 다른 곳으로 분산되도록 유도하고, 한국전력 등 공기업과 소상공인·중소기업·대기업에 자금을 공급하기로 했다. 특수은행채·여신전문금융사채를 포함한 회사채, 기업어음(CP)·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 환매조건부채권(RP)을 매입해 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할 예정이다.

또한 머니마켓펀드(MMF) 운용 규모를 유지해 환매로 인한 시장 불안정성을 최소화하고 제2금융권의 신용 공여 한도(크레딧라인)도 유지해 기업 등의 자금 수요를 최대한 보장해주기로 했다. 취약차주 지원 방안도 마련하기로 했다.

조용병 신한금융지주 회장은 간담회 모두 발언에서 “시장 혼란이 계속된다면 결국 금융기관의 건전성에 문제가 되기 때문에 금융 일원으로서 최대한 노력하겠다”며 “자금시장이 경색되면 원화와 외환 시장에 영향을 주는 만큼 변동성 확대를 막기 위해 최대한 역할을 하겠다”고 말했다.

김주현 위원장은 “최근 단기금융시장이 (레고랜드 사태 등) 충격에 민감히 반응해 회사채 시장까지 불안이 생겼으나 정부, 한국은행, 은행권의 노력에 시장 상황이 더 악화하지 않고 있다”면서 “금융지주와 은행의 일시적 이익은 코로나19 위기 극복 과정에서의 확장적 재정·통화정책으로 인한 대출규모 확대, 글로벌 긴축 등에 기인한 측면이 큰 만큼 금융권이 자금시장의 원활한 순환에 역할을 해주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간담회 후 취재진에게 “이전에는 매크로한(거시적) 관점에서 봤는데 최근에는 마이크로하게(미시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는 분야를 일일 자금 동향 점검 식으로 체크한다”면서 “조금이라도 문제가 될 거 같으면 조치가 바로 나가기 때문에 훨씬 더 효과적으로 시장에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경향신문 10월29일자 3면 보도).

김광수 은행연합회장은 “고금리 상황과 위험회피 성향에 따라 은행권으로 집중되고 있는 자금이 대출과 자금공급 등을 통해 실물경제와 금융시장에 다시 순환되도록 하는 은행 본연의 역할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유동성과 관련해 그동안 은행 유동성커버리지비율(LCR)과 예대율(예금잔액 대비 대출잔액 비율) 규제 등이 완화됐는데 여러 가지 필요한 추가 조치도 당국에 말할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위는 금융 시장이 안정될 때까지 금융위원장과 5대 금융지주 회장 간담회를 격주로 공식 정례화하고 실무진 상시 회의 채널도 구축하기로 했다.

한편 김 위원장은 정부가 최근 주택담보인정비율(LTV) 규제를 완화하면서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도 완화해야 한다는 일각의 주장에 대해 “부동산도 연착륙이 중요하다”면서 “국토해양부의 규제, 기획재정부의 세제 등을 다 고려한 맥락에서 봐야 하며 지금 상황에서 DSR (완화)는 신중하게 해야 한다는 생각을 기본적으로 갖고 있다”고 말했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