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위안부 합의 무효” 삼일절 대전 도심 태극기 물결

2016.03.01 16:20

1일 오후 대전시청 맞은편 평화의 소녀상 앞에 위안부 문제 재협상을 요구하는 시민들의 목소리와 태극기의 물결이 넘쳐났다.

평화나비 대전행동 등 대전지역 시민사회단체는 이날 제97주년 삼일절을 맞아 평화의 소녀상 앞에서 한일 위안부 문제 합의의 원천무효화를 촉구하는 문화제를 열었다.

1일 대전 서구 둔산동 대전시청 맞은편에 설치된 평화의 소녀상 앞에서 한일 위안부 문제 합의의 원천무효화를 촉구하는 문화제가 열리고 있다. |이종섭 기자

1일 대전 서구 둔산동 대전시청 맞은편에 설치된 평화의 소녀상 앞에서 한일 위안부 문제 합의의 원천무효화를 촉구하는 문화제가 열리고 있다. |이종섭 기자

이날 문화제에는 휴일을 맞은 시민 150여명이 자리를 함께 했으며, 한복을 입은 청소년들도 위안부 문제의 재협상을 요구하는 피켓과 태극기를 손에 들고 행사에 동참했다.

참가자들은 “지난해 3월1일 위안부 피해자의 인권과 명예 회복을 위해 시민들의 힘으로 평화의 소녀상을 건립했지만 한일 정부의 합의로 피해 할머니들의 명예와 인권은 오히려 다시 짓밟히고 말았다”며 “굴욕적인 한일 정부의 위안부 문제 합의는 원천무효임을 선언하고, 3.1 만세운동의 정신을 되살려 저항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1일 대전 서구 둔산동 대전시청 맞은편에 설치된 평화의 소녀상 앞에서 한일 위안부 문제 합의의 원천무효화를 촉구하는 문화제가 열리고 있다. |이종섭 기자

1일 대전 서구 둔산동 대전시청 맞은편에 설치된 평화의 소녀상 앞에서 한일 위안부 문제 합의의 원천무효화를 촉구하는 문화제가 열리고 있다. |이종섭 기자

최영민 대전평화여성회 대표는 “최근 영화 <귀향>에 대한 관심은 위안부 문제에 대한 일본 정부의 진정한 사죄와 배상을 요구하는 시민들의 요구를 보여주는 것”이라며 “역사에 대한 성찰과 사죄 없이 합의를 얘기하는 것은 피해자들에게 2차 피해를 가하는 것이며, 피해자가 받아들일 수 없는 합의는 무효일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1일 대전 서구 둔산동 대전시청 맞은편에 설치된 평화의 소녀상 앞에서 한일 위안부 문제 합의의 원천무효화를 촉구하는 문화제가 열리고 있다. |이종섭 기자

1일 대전 서구 둔산동 대전시청 맞은편에 설치된 평화의 소녀상 앞에서 한일 위안부 문제 합의의 원천무효화를 촉구하는 문화제가 열리고 있다. |이종섭 기자

문화제에 참가한 시민들은 행사 중간중간 손에 든 태극기를 흔들며 다른 참가자들의 발언에 환호했으며, ‘위안부 문제 재협상을 실시하라’ 등의 구호를 외쳤다.

참가자들은 또 기미독립선언문 낭독과 만세삼창 등의 퍼포먼스를 한 뒤 과거 일본의 침략과 위안부 문제에 대한 사죄를 요구하며 도심에서 행진을 이어갔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