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화점-市 “네돈으로” 티격태격

2004.03.01 22:44

4월 개점을 앞둔 롯데백화점 전주점이 교통대책을 타결짓지 못해 가뜩이나 걱정스런 전주천 일대의 혼란이 우려된다.

행자부가 이미 실시된 교통영향평가에서 부실판정을 받아 보완대책을 세우라는 감사결과가 나온뒤 빚어진 혼란이다. 지금으론 백화점 인근 전주천에 교량을 신설해 교통량을 분산시키는게 유일한 대안이지만 1백20억원대로 추산되는 건설비용을 놓고 전주시와 롯데측이 공방만 벌이고 있다. 시민들은 교통대책이 완벽하게 갖춰지지 않은 채 오는 4월 백화점이 문을 열 경우의 교통혼잡에 대해 걱정하고 있다.

◇부실한 교통영향평가=전주시 서신동 전주천을 끼고 들어서는 롯데백화점 부지는 신시가지 중심이다. 아파트 밀집지역이고 이마트 등 대형유통시설과 고층건물이 들어서 있다. 롯데백화점이 입점하면 엄청난 교통량이 파생되지만 교통영향평가에서는 이를 간과했다. 당초 교통영향평가에서 제시된 차량 유·출입 분산대책은 통일광장 지하보도 쪽과 롯데백화점 뒤쪽 자라목 2길로 이어지는 언더패스 정도가 고작이었다. 그러나 지난해 11월 행자부 감사에서 천변의 언더패스 시설은 하천점용에 따른 하천법 위반이라는 지적을 받아 난감해 졌다. 대안으로 떠오른 것이 도시계획상 교량건설이 예정돼 있던 전주지법과 서신동 동아아파트를 잇는 교량과 도로건설이다.

◇건설비놓고 티격태격=전주시는 하천 언더패스가 사실상 불가능하다면 교량건설 외에 대책이 없다는 주장이다. 하지만 교량건설에 따른 1백20억원이라는 비용 부담이 문제다. 전주시는 모두 롯데백화점측이 부담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시민들을 위해 백화점이 들어서는 것은 환영하나 시 재정난을 감안할 때 교량가설비용을 지자체가 수용하기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롯데백화점은 일단 교량건설에는 이의가 없지만 비용을 전적으로 기업에 부담시킨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는 입장이다. 롯데는 최근 전체 교량건설비용의 30%선을 부담하겠다는 의견을 전주시에 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전체 백화점 건설비용에 비해 교량건설비용 점유율이 너무 높아 전액 기업이 떠안기는 역부족이라는 것이다.

현재 막바지 공정에 있는 롯데로선 백화점 개점과 교통영향평가 재추진은 별개로 생각하고 싶다는 의중도 숨기지 않고 있다. 교통영향평가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한 준공검사 등 후속일정이 차질을 빚을 수 밖에 없지만 건물만 지어놓고 정작 개점을 못하는 상황은 피하고 싶은 것이다.

교량건설비용에 대해 롯데와 시가 어떤 배분원칙을 적용해 대타협을 이끌어낼지가 관건이다. 일각에서는 전주시가 롯데에게 다른 수혜를 주고 교량건설비를 받아내는 대안도 모색할 수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10층이하 고도제한에 묶여 ‘뜨거운 감자’로 수십년째 방치되고 있는 빙상경기장 옆 롯데 아파트 부지의 규제를 풀어 반대급부를 챙기게 하고 교량건설비용을 부담토록 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특혜시비로 이어질 공산이 커 만만치 않다.

시민 윤정수씨(45·전주시 완산구 대성동)는 “애초에 잘못된 교통영향평가로 빚어진 일이므로 안을 낸 롯데나 이를 받아들인 행정관서 모두에게 책임이 있다”며 “가장 중요한 것은 시민들에게 교통대란을 전가시켜서는 안된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박용근기자 yk21@kyunghyang.com〉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