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원 핼러윈 참사

희생자 중 지방 주소 둔 사람 23명…압사 ‘지자체 안전보험’ 보상안돼

2022.11.01 14:51

1일 오전 서울 용산구 원효로 다목적실내체육관에 마련된 ‘이태원 참사 유실물센터’에  시민들이 유실물을 살펴보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1일 오전 서울 용산구 원효로 다목적실내체육관에 마련된 ‘이태원 참사 유실물센터’에 시민들이 유실물을 살펴보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서울 이태원 핼러윈 참사 희생자 중 23명이 지방에 주소를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희생자 대부분이 20대인 탓에 주소는 고향에 두고 서울 등 수도권에서 학업이나 직장생활을 하던 청년들이 많다.

1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의 ‘용산구 이태원 사고 대처 상황’을 보면 이날 오전 11시 기준 사망자는 156명으로 집계됐다. 사망자중 남성은 55명, 여성은 101명이었다.

사망자 상당수가 지방에 주소를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희생자들의 주민등록상 주소지를 기준으로 지역을 분류했다. 가장 많은 희생자는 수도권에 집중됐다. 서울이 64명, 경기 38명, 인천 5명 등이었다.

수도권을 제외한 지역 사망자는 모두 23명으로 집계됐다. 대전 5명, 충남 4명, 울산·전남 각 3명, 광주 2명, 대구·충북·전북·경북·경남·제주에서도 각각 1명씩의 희생자가 나왔다. 사망자 중 26명은 외국인 이었다.

희생자 지역 분류는 실제 해당 지역에 마련된 빈소와는 차이가 있다. 사망자의 상당수는 가족들이 사는 지역 연고지에서 장례가 치러지고 있다. 서울지역 사망자로 분류됐지만 광주에 사는 유가족 연고지에 빈소가 마련되는 등의 경우다.

전남도가 주민들이 갑작스런 사고에 대비해 가입하고 있는 ‘도민 안전공제보험’. 이 보험은 최대 2000만원까지 보장이 가능하지만 압사사고는 보장 내역에 포함돼 있지 않다.

전남도가 주민들이 갑작스런 사고에 대비해 가입하고 있는 ‘도민 안전공제보험’. 이 보험은 최대 2000만원까지 보장이 가능하지만 압사사고는 보장 내역에 포함돼 있지 않다.

갑작스러운 참사로 사망했지만 희생자들은 지자체가 대부분 가입한 ‘시민 안전보험’을 통해 보상을 받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지자체들은 주민들의 갑작스러운 사고에 대비해 안전공제보험에 가입하고 있다.

하지만 보험사 약관에 ‘압사사고’ 항목이 없었던 탓에 지자체는 이같은 사고를 보장에는 상품에 가입할 수 없다. 사망이나 후유장해 등에 대해 최대 2000만원을 보장받을 수 있는 전남도의 ‘도민 안전공제보험’을 살펴보면 보장이 가능한 11개 사고에 ‘압사’는 포함돼 있지 않다.

이 보험으로 보상을 받을 수 있는 사고는 자연재해, 익사, 폭발·화재·붕괴·산사태로 인한 사망이나 후유장해, 대중교통 이용 중 사망·후유장해, 강도 사망·후유장해, 농기계 사망·후유장해, 스쿨존 교통사고 부상치료 등이다.

전남도 안전정책과 관계자는 “안전보험은 지방재정공제회나 민간 손해 보험사에 가입하는데 이들 보험사의 보장내역에 ‘압사사고’ 항목 자체가 없다”면서 “이번 참사를 계기로 일부 보험사가 관련 보장 상품을 만드는 것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