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시대 서울시민 10명 중 7명은 주 1회 ‘혼밥’…건강상태 ‘양극화’

2021.04.01 11:18 입력 2021.04.01 11:22 수정

서울시 <2020년 서울먹거리 통계조사 보고서>

서울시 <2020년 서울먹거리 통계조사 보고서>

서울시민 10명 중 7명은 일주일에 적어도 한 번은 ‘혼밥’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인가구가 늘고 있는 상황에서 지난해 코로나19 대유행으로 대면 교류가 줄어든 상황이 반영된 것이다. 코로나19가 식생활에도 영향을 미치면서 소득계층별로 건강상태가 더 좋아지거나 나빠지는 등 양극화 양상도 나타났다.

서울시는 지난해 9월25일부터 10월30일까지 서울 거주 2000가구(만 18세 이상 3833명)를 대상으로 먹거리 현황, 코로나19 이후 식생활변화 등에 대한 ‘서울먹거리 통계조사’를 진행, 그 결과를 1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를 보면 서울시민의 69.2%가 일주일에 최소 한 번은 ‘혼밥’을 하고 있으며 일주일 평균 ‘혼밥’ 횟수는 3.44회로 조사됐다. 연령별로는 70대 이상(5.13회)이 가장 높고, 만 18~29세(3.84회)가 뒤를 이었다. 가구형태별로 보면 1인가구가 7.70회로 2회대로 응답한 다른 가구형태보다 월등히 높았다.

‘혼밥’하는 이유는 ‘같이 먹을 사람이 없어서’라는 응답이 72.3%로 가장 높았고 ‘시간이 없어서’(37.7%), ‘내가 좋아하는 음식을 먹고 싶어서’(32.4%), ‘다른 사람과 같이 먹기 싫어서’(11.6%)라는 응답이 뒤를 이었다.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서울시민들의 식생활에도 적잖은 변화가 일어났다. 10명 중 5명 가까이는 ‘배달 및 포장음식’(49.2%)이, 10명 중 4명은 ‘온라인 식품구매’(39.1%)가 코로나19 이후 늘어났다고 답했다. 식품 소비 또한 비대면 시대로 바뀌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손수음식 조리’도 43.4% 증가해 가정에서의 음식섭취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이후 건강상태와 관련해서는 대부분(76.7%)은 변화가 없다고 답했지만 ‘나빠졌다’(14.2%)고 응답한 비율이 ‘좋아졌다’(9.1%)는 응답보다는 다소 높았다. ‘건강이 나빠졌다’고 답한 비율을 세분화해보면 70대 이상(25.5%), 월평균 가구소득 200만원 미만(20.5%)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왔다. 반면 월평균 가구소득 700만원이상에서는 ‘좋아졌다’는 응답이 27.7%로 가장 높아, 코로나 이후 소득에 따른 건강변화가 양극화 양상을 나타냈다고 서울시는 분석했다.

서울시 <2020년 서울먹거리 통계조사 보고서>

서울시 <2020년 서울먹거리 통계조사 보고서>

다양한 식품을 충분히 섭취해 먹거리가 보장됐다고 응답한 시민은 76.6%로 나타났다. 양적으로 충족되나 질적으로 미보장 상태는 17.8%, 양적·질적 모두 미보장 상태는 5.7%로 조사됐다. 먹거리가 질적으로 보장되지 않은 이유로는 ‘식품구매나 조리시간이 충분하지 못해서’(65.6%·복수응답)라고 답했고, ‘주변에 원하는 다양한 식품이 없어서’(46.3%), ‘구매할 돈이 충분하지 않아서’(36.4%) 순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이번 조사 심층 분석한 결과 20대와 70대, 1인가구, 학생, 사회적 완전고립형 등이 ‘먹거리 취약계층’에 속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이들은 다양한 식품을 충분히 섭취하지 못하는 ‘먹거리 미보장’ 상태에 속했고 ‘먹거리 이해력’이 부족하고 식생활과 관련해 낮은 행복도를 보였다.

서울시는 그간 먹거리 정책이 경제적 취약계층 대상 식품 제공이 주를 이루었다면, 이번 조사를 통해 취약계층 뿐만 아니라 인구사회적 변화에 따른 맞춤 정책이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향후 ‘서울시 먹거리 정책 5개년 기본계획’을 수립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