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 침수 위험에 ‘이웃’들 출동…동행파트너·QR 신고 등

2024.05.23 11:15 입력 2024.05.23 11:16 수정

지난 2022년 9월 서울 동작구 남성사계시장에서 빗물받이 덮개 점검이 이뤄지고 있다. 한수빈 기자

지난 2022년 9월 서울 동작구 남성사계시장에서 빗물받이 덮개 점검이 이뤄지고 있다. 한수빈 기자

여름철 폭우로 침수 위험이 큰 서울 지역에 거동이 불편한 주민들의 대피를 돕는 이웃들이 늘어난다. 청소가 필요한 빗물받이 등을 발견하면 동네에서 누구나 바로 신고할 수 있는 QR코드도 도입된다.

서울시는 지난해 전국에서 처음으로 구성한 ‘동행파트너’ 인원을 올해 더 늘려 2956명이 활동을 시작한다고 23일 밝혔다.

이들은 서울에 시간당 55㎜ 이상 비가 내려 침수예보가 발령되면 자력 탈출이 어려운 중증장애인·고령층·아동 등 이웃이 사는 집이나 저지대 재난 약자 주거지를 찾아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게 돕는다. 장마철 전후로 취약 지역을 순찰도 한다.

순식간에 물이 들어차는 반지하 주택 등의 인명 사고를 예방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지역 사정에 밝은 통·반장과 도움이 필요한 주택에서 도보 5분 이내 사는 주민, 공무원 등이 주축된 5명 안팎이 팀을 이룬다.

이날 서울시청에서 발대식을 가진 동행파트너는 지난해보다 규모가 늘나면서 전년보다 250여구 많은 총 1196가구에 대해 지원 활동을 하게 됐다.

서울시 관계자는 “동행파트너들에게는 보호장비와 170개 동별로 대피경로·비상연락망 등이 담긴 수방지도가 배포된다”며 “재난 대응 역량을 높이기 위해 현장 교육을 받은 파트너들에게는 위기 상황에 출동하면 소정의 수당도 지급된다”고 설명했다.

성동구는 집중호우 등에 빗물받이 배수 기능이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오는 7월 중으로 성수동 카페거리 일대 가로등에 QR코드를 부착하기로 했다.

스마트폰으로 QR을 인식하면 민원 신고를 할 수 있는 페이지로 연결된다. 빗물받이가 막힐 우려가 있거나 조치가 필요한 경우 누구나 알릴 수 있게 한 것이다.

성동구 성수동 카페거리 일대 빗물받이 주변 가로등에 청소 요청과 불편 사항 등을 신고할 수 있는 QR코드가 부착된다. 성동구 제공

성동구 성수동 카페거리 일대 빗물받이 주변 가로등에 청소 요청과 불편 사항 등을 신고할 수 있는 QR코드가 부착된다. 성동구 제공

성동구 관계자는 “신고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상기후, 재난 상황 발생 전에 청소와 정비를 할 수 있다”며 “올해 시범 도입을 바탕으로 효과를 분석해 내년 지역 전체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마포구는 올해부터 지역 고령층 1인 가구와 장애인 등 주민 1828명을 대상으로 사회복지사·생활지원사·재난도우미가 격일로 여름철 안부를 확인하는 체계를 만들었다. 폭염과 폭우 등 극한 기후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 노숙인 거리순찰반도 구성돼 폭염 특보가 내려지면 현장을 순찰하고 도움이 필요한 대상자를 찾는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기상이변으로 예상하지 못한 재난상황 발생에 대응하려면 시민의 협조가 필요하다”며 “동행파트너는 시민의 힘으로 이웃을 지키고 안전한 서울을 만드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