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평양과 올림픽 공동개최에 3조8500억 필요”

2018.12.18 10:32

서울과 평양이 오는 2032년 하계올림픽을 공동개최하려면 4조원 가까운 예산이 들 것으로 추산됐다.

서울시는 최근 서울시의회에 ‘2032년 제35회 하계올림픽대회 서울·평양 공동개최 유치 동의안’을 제출했다고 18일 밝혔다. 시의회는 19일 상임위를 거쳐 20일 본회의에서 동의안을 처리할 방침이다.

시의회에 제출한 동의안에서 서울시는 개·폐회식, 경기장 개·보수, 경기 운영 등에 남측이 충당해야 할 비용을 3조8570억원으로 추산했다. 이 추정치에 도로, 철도 등 사회간접자본(SOC) 확보 비용이 제외돼 예산 규모는 더 커질 수 있다고 서울시는 설명했다.

공동개최가 실현되면 2032년 7~8월 중 서울과 평양을 포함한 한반도 전역에서 올림픽이 열린다. 참여 인원은 선수단과 임원, 기자단을 포함해 2만8000명으로 추정됐다.

서울시는 “대한체육회에서는 2032년 하계올림픽 남북 공동개최 유치를 위한 국내 유치 신청도시 선정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며 “서울·평양 공동개최 유치를 위해 서울시의회의 동의를 구하고자 한다”고 취지를 설명했다. 시의회에 동의안을 제출한 것은 올림픽 유치 신청을 마무리짓기 위한 절차라는 것이다.

서울시는 “체제와 이념의 차이를 넘어 남·북한 수도가 같이하는 ‘한반도 통일올림픽’을 실현하고 올림픽 역사상 최초로 초고속 통신망을 활용한 서울·평양 동시 개·폐회식을 개최하려 한다”고 밝혔다. 이어 “제100회 전국체전의 시설을 최대한 활용하고 타 시·도와 경기장 분산 운영을 통해 경제 올림픽을 실현하겠다”며 “서울은 대한민국의 도시 중에서 평양과 최단거리에 있는 도시로서 SOC 인프라 구축 비용이나 통신·물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고 했다.

문재인 대통령과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지난 9월19일 평양 옥류관에서 오찬을 마친 뒤 특별 수행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최문순 강원지사, 이정미 정의당 대표,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 문 대통령, 김 위원장, 정동영 민주평화당 대표, 박원순 서울시장. 서성일 기자

문재인 대통령과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지난 9월19일 평양 옥류관에서 오찬을 마친 뒤 특별 수행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최문순 강원지사, 이정미 정의당 대표,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 문 대통령, 김 위원장, 정동영 민주평화당 대표, 박원순 서울시장. 서성일 기자

앞서 올해 문재인 대통령과 함께 북한을 다녀왔던 박원순 서울시장은 지난 7일 서울시청에서 열린 ‘2018 국제 인권 콘퍼런스’에서 “2018년 평창올림픽이 한반도 전쟁 위기에서 평화와 통일의 초석·시금석을 놓았다면 2032년은 완성판이 될 가능성이 크다”며 서울·평양 공동개최 추진 의지를 피력했다.

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지난 9월 ‘평양공동선언’을 통해 2032년 하계올림픽 남북 공동개최를 유치하는 데 협력하기로 뜻을 같이했다. 남북은 내년 2월 국제올림픽위원회(IOC)에서 2032년 하계올림픽 유치와 관련한 회의를 열기로 합의했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