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총장 ‘사퇴 배수진’설에…여권 “조 장관 수사 의도성 있다”

2019.10.01 22:28 입력 2019.10.01 22:30 수정

“대통령에 대한 압박이자 인사권에 정면 도전” 비판

“이 정도 됐으면 물러나야”…대검은 “사실 아니다”

윤 총장 거취 선 그은 청 “검찰개혁 이행 결과 봐야”

윤석열 총장 ‘사퇴 배수진’설에…여권 “조 장관 수사 의도성 있다”

윤석열 검찰총장(사진)이 조국 법무부 장관 임명 직전 청와대에 “조 장관을 임명할 경우 자진 사퇴하겠다”는 의사를 전달했다는 증언이 이어지면서 여당 일각에서 윤 총장 사퇴론이 나오는 등 파문이 커지고 있다.

이는 문재인 대통령의 국무위원 인사권에 개입하려는 의도가 단적으로 드러난 행태이고, 조 장관 일가에 대한 검찰 수사 역시 조 장관을 주저앉히려는 의도를 갖는 것이기 때문에 부당하다는 게 여권 내부의 인식으로 보인다.

윤 총장이 조 장관 임명불가론을 펴며 사퇴 배수진까지 쳤다는 보도에 더불어민주당은 1일 부글부글 끓었다. 대검찰청이 “사실이 아니다”라고 부인했지만, 여권은 보도 내용을 사실로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조 장관 임명 전 윤 총장이 문 대통령에게 독대를 요청했다는 보도도 이날 나왔다. 대검은 이 역시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고 했다. 여당에선 윤 총장이 ‘사퇴 카드’까지 내건 것은 대통령 인사권을 침해하는 행위라는 비판이 나왔다. 조 장관 일가에 대한 검찰 수사는 결국 조 장관을 끌어내리려는 의도라고 했다.

문 대통령이 검찰개혁 전면에 나선 건 윤 총장 행태에 심각함을 느꼈기 때문이라는 해석도 제기됐다.

수도권 한 초선 의원은 “윤 총장이 스스로 사퇴를 하려 했다는 것 자체가 대통령에 대한 압박이자, 대통령 인사권에 정면으로 도전한 것”이라며 “사퇴 압박이 사실이라면 조 장관 수사도 처음부터 윤 총장의 의도가 곁들여져 출발했다고 보는 게 상식적”이라고 말했다.

다른 의원도 “검찰총장이 그처럼 반대 의지가 컸다면 수사를 조 장관 낙마에 이용했을 가능성도 크다”며 “실제로 검찰의 최근 수사를 보면 시점이 아주 공교로웠다”고 말했다. 여권 고위 관계자는 “윤 총장은 전략적이거나 정치적인 인사가 아니라 불도저”라며 “도저히 이런 법무부 장관과 일 못한다는 것”이라고 했다.

당 일각에선 윤 총장 사퇴론도 나온다. 한 의원은 “문 대통령의 검찰개혁 메시지는 윤 총장에 대한 엄청난 질책”이라며 “이 정도 됐으면 총장이 물러나야 한다”고 말했다. 다른 의원은 “당에서는 아직 윤 총장에게 직접 책임을 물어야 된다고 생각하진 않는 편”이라면서도 “다만 수사를 이렇게까지 벌여서 하고 난 뒤 아무것도 나오지 않는다면 그때 거취를 포함해 책임론이 커질 수 있다”고 했다.

<b>민주당, 검찰개혁 토론회</b> 더불어민주당 이인영 원내대표(오른쪽)와 윤관석 정책위원회 수석부의장이 1일 국회에서 열린 검찰개혁 토론회에서 대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민주당, 검찰개혁 토론회 더불어민주당 이인영 원내대표(오른쪽)와 윤관석 정책위원회 수석부의장이 1일 국회에서 열린 검찰개혁 토론회에서 대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청와대는 윤 총장 거취 문제에는 일단 선을 그었다. 청와대 관계자는 “문 대통령이 윤 총장에게 검찰개혁을 구체적으로 지시한 상황”이라며 “윤 총장의 검찰개혁 이행 결과를 봐야 할 것”이라고 했다. 아직은 윤 총장 거취를 논할 단계가 아니라는 것이다.

이낙연 국무총리도 이날 국회 교육사회문화 분야 대정부질문에 출석해 “현시점에서 윤 총장 교체를 생각하고 있는가”라는 자유한국당 박명재 의원 질문에 “그런 얘기는 오가지 않은 것으로 안다”고 했다. 박 의원이 이어 “윤 총장과 조국 법무부 장관이 동반 사퇴하는 시나리오가 떠돈다”고 묻자 “적어도 정부 내에서 그런 논의가 있다는 것을 들어본 적이 없다”고 답했다.

조 교수 부인 정경심 동양대 교수의 검찰 소환을 앞두고 뒤늦게 여권발 증언이 나오는 것을 두고 윤 총장을 압박해 수사를 위축시키려는 의도라는 관측도 나온다.

박지원 대안정치연대 의원은 의원총회에서 “(검찰총장과) 민정수석 사이에 어떤 대화가 있었다 해도 이런 대화가 공개돼 정략적으로 이용되는 것은 있을 수 없다고 생각한다”며 “권력투쟁이고 권력누수 현상”이라고 지적했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