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과의 눈물

문·이과 통합교육 ‘이과 쏠림’ 줄일까

2014.10.24 22:03 입력 2014.10.24 22:21 수정

대학들, 심화과목 이수자 선발 땐 취지 무색… ‘암기형 수능’ 바꿔야

고교에서 문·이과 통합교육이 이뤄지면 ‘문과 기피’ 현상이 사라질 것이라는 기대도 있다. 교육부와 국가교육과정개정연구위원회는 지난달 24일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총론안’을 발표했다. 교육부 방안대로라면 2017년부터 고교생들은 문·이과에 관계없이 공통사회, 공통과학 과목을 함께 배우고, 두 과목 모두 수능을 치르게 된다. 현재는 문·이과생들이 각각 사회탐구·과학탐구 과목만 배우고 수능을 치르게 돼 있다.

교육부가 내놓은 방안에 대해 일선 교사들은 냉담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진영효 전교조 참교육실장(서울 방원중 교사)은 “2009년 교육과정 개편이 이뤄진 이후 현재 교육과정은 ‘선택형 교육과정’ ”이라며 “다양한 선택과목을 두고 학생들이 적성에 맞는 교육과정을 선택하도록 하는 취지”라고 말했다. 그는 “수능에서 국·영·수 비중이 높은 데다 대학들이 문과계열은 사회탐구를 배운 학생만을, 이과계열은 과학탐구를 배운 학생만을 선발하면서 교육과정의 본래 취지가 퇴색했다”고 설명했다.

교육부가 내놓은 방안은 공통사회, 공통과학을 필수로 정하면서 이에 따른 심화 선택과목을 두고 있어 동일한 문제가 반복될 가능성이 크다는 지적이 나온다. 대학들이 문·이과 계열별로 공통사회 또는 공통과학의 심화 선택과목을 공부한 학생만 선발하면 심화 선택과목으로의 쏠림 현상이 나타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고교 교육을 대학진학의 ‘준비 과정’으로 보는 시각도 문제다. 전국사회교사모임 신성호 부회장(서울 고대부고 교사)은 “고교에선 AP(대학 강의 선이수제) 과정이 늘고, 방과후 교실 등을 통해 문·이과가 결정되기 전부터 예비 심화교육을 시키고 있다”며 “대학에 진학하면 취업을 위한 복수전공 필수화로 기초 교양을 배울 시간이 없다”고 말했다. 고교가 대학진학을 위한, 대학이 취업을 위한 준비기관으로 전락하면서 학생들이 인문학적 소양을 기를 기회가 사라졌다는 것이다.

신 부회장은 “현재 중등교육의 가장 큰 폐해는 ‘지식 암기형’ 수능체제”라며 “문·이과생들에게 과학·사회를 필수화해 수능 부담을 늘린다고 해서 이과 쏠림 현상이 해소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