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코로나 백신 후유증’에 최대 500만원 지원

2022.01.18 21:09 입력 2022.01.18 21:18 수정

우울증 치료에도 최대 600만원

내달부터 신청·내년 5월까지 시행

교육급여 대상자는 추가 500만원

정부가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중증 이상반응을 겪는 학생과 학교 밖 청소년들에게 최대 500만원의 의료비를 지원한다. 법원의 방역패스 집행정지 결정 등으로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이는 청소년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독려하기 위한 방안이다. 또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우울증으로 자살이나 자해를 시도한 학생들은 상해 치료 및 정신과 병·의원 치료비를 최대 600만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18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학생 건강회복 지원방안’을 발표했다.

코로나19 백신 중증 후유증 의료비 지원 대상은 접종 당시 만 18세 이하 학생과 학교 밖 청소년이다. 접종 후 90일 내 중증 이상반응이 발생했으나 인과성이 인정되기 어려워 국가보상을 받지 못할 때 보완적 의료비가 500만원 내로 지원된다.

‘중증’은 증상 유형과 관계없이 국가보상 신청 액수가 본인부담금 기준 30만원 이상일 경우이며, 국가보상제도에 따른 예방접종피해보상 전문위원회 심의에서 백신보다는 다른 이유에 의한 증상 발생 가능성이 큰 것으로 판단돼 보상 신청이 기각된 사례에 해당한다.

교육부는 국내 백신 접종 이상반응 의심사례가 접종 후 72일까지 신고되고 있는 점 등을 고려해 기간을 접종 후 90일 내로 정했다고 설명했다.

이날 0시 기준 13~18세 대상 백신 접종 405만8661건 중 이상반응 의심사례는 1만1082건(0.26%) 신고됐으며 이 가운데 사망이나 아나필락시스 의심, 중환자실 입원, 영구장애 등 중대한 이상반응 신고 건수는 284건이다. 1인당 총 500만원까지 지원되지만 교육급여(중위소득 50% 이하) 대상자의 경우 의료비 총액이 500만원을 초과하면 추가로 최대 500만원을 더 지원받을 수 있다. 국가보상제도 신청부터 통보까지 소요되는 기간이 최장 120일임을 고려해 사업 기간은 다음달부터 내년 5월까지로 정해졌다. 추후 코로나19 확산 상황 등을 고려해 연장 여부를 결정한다.

정부는 또 자살·자해 시도 등 정신건강 고위험군 학생을 대상으로 신체·정신치료비(실비)를 최대 각 300만원 한도에서 지원한다. 학생이나 보호자가 치료비 영수증과 전문의 소견서 등을 첨부해 학교장에게 신청하면 지원기준 충족 여부를 검토해 지급한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