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의대협에 “대화 하자” 제안···의대정원은 “학칙개정과 별개로 30일에 확정”

2024.05.21 11:09 입력 2024.05.21 19:36 수정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이 지난 20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한국교육시설안전원에서 열린 40개 의과대학 대학 총장과의 영상 간담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 김창길기자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이 지난 20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한국교육시설안전원에서 열린 40개 의과대학 대학 총장과의 영상 간담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 김창길기자

교육부가 40개 의대 학생단체인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에 공개 대화를 제안했다. 이주호 교육부 장관은 “정부 정책을 소상히 이야기하면 오해가 풀릴 수 있다 생각한다”고 말했다.

교육부는 21일 오전 자료를 내고 의대협에 대화를 제안했다. 교육부는 “의대협 측이 공식 연락처를 제공하지 않은 상태여서 불가피하게 언론을 통해 대화를 제안하고 교육부로 답신해줄 것을 요청한다”고 밝혔다. 교육부는 “대화 시기, 주제, 방식(공개/비공개), 참여규모 등은 학생들과 의사를 조율하여 정할 계획”이라고 했다.

이 장관은 이날 기자단과 만난 자리에서 “장관이 만나 정부 정책을 (의대생에게) 소상히 얘기해주면 오해가 풀릴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의대 증원) 정책이 의대생들이 걱정하는 것처럼 그렇지 않다는 걸 충분히 설명할 수 있다 생각한다”고 했다.

교육부가 의대협에 공식 대화를 제안한 것은 약 2개월 만이다. 앞서 교육부는 지난 3월11일 의대협 비대위 대표에게 이주호 교육부 장관과 대화를 제안했다. 교육부는 지난 3월13일 오후 6시까지 답을 달라고 했지만 의대협의 회신을 받지 못했다. 당시 의대협 측은 “교육부의 대화 요청을 전달받지 못했다”고 밝혔다.

교육부는 배포한 자료에서 연락처(044-203-6933, 044-203-6931, moemedi@korea.kr)도 공개했다.

의대협은 이날 오후 입장문을 내고 “이미 지난 3월 24일, 대정부 요구안으로써 입장을 밝힌 바 있다”며 “요구안에 대한 최소한의 수용도 없는 상황에서 학생들에게 대화를 요구하는 정부에 유감을 표한다”고 밝혔다. 의대협은 지난 3월23일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와 의대 증원 정책 전면 백지화, 정부 사과, 휴학계에 대한 공권력 남용 철회 등을 요구했다.

교육부는 지난주 서울고법의 결정으로 내년도 의대 증원이 사실상 확정됐다고 보고, 의대생의 학업 복귀를 강하게 촉구하고 있다. 교육부는 전날 브리핑에서 2학년으로 진급한 1학년 학생들과 2학년에 유급된 학생들을 합쳐 약 6000명이 남은 의대 생활을 함께 하게 된다고 압박했다. 이 장관은 “가장 우려되는 부분은 최악의 경우 1학년 학생들이 (내년에) 2배가 되는 것이고, 6년차 학생들(본과 4학년)은 의사 국시 문제가 있다”며 “학생 본인들한테 어떤 결과가 일어날지, 본인들에게 어떤 피해 일어날지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이 장관은 개별 학교의 학칙 개정과 관계없이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에서 오는 30일 의대 정원을 발표하면 법적으로 변경할 수 없는 사안이라고 했다. 이 장관은 “대교협에서 오는 30일에 증원된 인원을 공식적으로 발표하고 개별대학들이 요강 발표하게 되면 입시 정책으로 확정되는 것”이라며 “학칙개정은 후속으로(30일 이후에) 이뤄져도 상관 없는 것으로 보고 받았다”고 했다. 이 장관은 의사 국시 일정 변경과 관련해선 “아직 보건복지부와 협의 중”이라고 했다.

한 차례 학칙 개정안이 부결됐던 부산대는 이날 교무회의에서 학칙 개정안을 가결했다. 부산대 정원은 올해 125명에서 내년 163명으로 증가한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