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 “재택치료는 치료 아닌 방치…병상·인력 확충해야”

2021.12.02 21:00 입력 2021.12.02 21:01 수정

정부 방침 철회 촉구 회견

시민단체들이 “정부의 코로나19 재택치료는 사실상 치료가 아닌 방치”라며 정부에 재택치료 방침을 철회하고 병상과 의료인력을 확보할 것을 요구했다. 불평등끝장넷 등은 2일 코로나19 재택치료 방침을 철회하고 병상과 인력을 확충할 것을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서울 종로구 참여연대 사무실에서 열었다. 이들은 “자택 대기는 코로나19 확진자 급증으로 병상이 남지 않자 정부가 입원 대기자가 많은 현실을 은폐하려는 의도로 도입한 것으로밖에 볼 수 없다”고 주장했다.

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본부 서울대병원분회 최은영 간호사는 “재택치료는 자택 대기 중 사망할 수도 있음이라고 해석된다”며 “코로나19는 급성 질환이고 환자가 관리할 수도 없다. 인터넷에 정보가 많지만 개인이 할 수 있는 것은 거의 없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는 인력이 부족한 병원에 파견 간호사를 지원하겠다고 했지만, 지금 현장에서 필요한 것은 1회용 인력이 아니다. 땜질식 인력으로는 해결이 불가능하다”며 “공공병원 확충과 제대로 일할 수 있는 보장된 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중앙사고수습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으로 전국의 재택치료 대상자는 1만1107명이다. 전국의 코로나19 중환자 병상 가동률은 전날 오후 5시를 기준으로 79.1%로 1154개 중 913개가 가동 중이다. 수도권은 전체 중환자 병상 714개 중 629개가 가동 중으로 가동률이 88.1%에 달했다.

정부는 지난달 29일 ‘재택치료’를 코로나19 치료의 원칙으로 하고 재택치료가 불가능한 경우에만 의료대응체계를 전환한다는 내용을 담은 코로나19 특별방역대책을 발표했다. 재택치료 대상자를 ‘모든 코로나19 확진자’로 확대하되 입원요인이 있는 경우, 감염에 취약한 주거환경, 보호자가 없는 돌봄 필요자(소아·장애·70세 이상 접종자 등) 등의 경우 예외적으로 입원치료를 하도록 했다.

안형진 홈리스행동 활동가는 “화장실과 부엌을 공동으로 사용하는 고시원과 쪽방 주민들은 재택치료와 자가격리가 불가능한 곳에서 사실상 방치되고 있다”고 말했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