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군부대 신규편입지 주민들 거센 반발

2002.04.01 20:15

한·미 연합토지관리계획 협정에 따라 부산·오산·평택 등 8개 지역 1백50만평이 신규 미군 기지 공여지로 편입될 것이라는 발표가 나오자 해당 지역 주민들과 시민 단체들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이들은 “미군기지가 새로 들어서면 각종 환경오염과 미군 범죄 등 기존 미군기지에서 숱하게 제기된 문제들이 그대로 발생할 것”이라면서 “주민의견 수렴을 거치지 않고 밀실에서 합의된 정책은 즉각 철회돼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1일 해당 자치단체 등에 따르면 미 오산 공군기지 주변 50만평과 캠프 험프리 주변 24만평 등 모두 74만평이 새로 미군기지로 편입되는 평택시의 주민들과 시민단체들은 지난달 30일 ‘미군기지 확장 반대 긴급 결의대회’를 가진 데 이어 조직적인 반대운동을 계획하고 있다.

20여개 시민단체로 구성된 ‘미군기지 확장반대 평택대책위원회’는 “현재도 미군기지가 4백54만평이나 되는데 74만평이 추가된다면 도시 전체가 미군 부대화된다”며 “이는 주민들의 생존권을 위협하는 행위”라고 주장했다.

신규로 10만평이 미군기지로 편입된 포항지역 주민들도 반발하고 나섰다.

포항 환경운동연합 정기일 사무국장(39)은 “지난해 12월 국방부에 공개질의서를 보내 신규 공여 문제에 대해 주민 의견을 감안해줄 것을 촉구했으나 아무런 반응도 없었고 이번에 10만평이 포함됐다”며 대대적인 반대운동을 벌여나가겠다고 말했다.

부산에 있는 하야리아 부대가 강서구 녹산지역으로 이전되는 것으로 확정되자 강서구 주민들은 “이전 예정지는 녹산공단의 물류 거점지역으로 서부산 개발의 핵심지역”이라며 “부대가 이전할 경우 지역경제 발전을 가로막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미국 점유 부산땅 되찾기 범시민대책위’측은 “군사적 용도가 끝난 하야리아 부대를 완전히 반환받지 못하고 3천억원이 넘는 이전 비용까지 정부가 부담키로 한 것은 굴욕협상”이라고 주장했다.

신규 공여지 주민뿐 아니라 미군 관련 시설의 이전을 기대했다가 대상에서 제외된 지역 주민들의 원성도 높아지고 있다.

경기 화성시 우정면 매향리 주민들은 미공군 쿠니 사격장이 반환 대상에서 제외되자 허탈한 표정들이었다. ‘매향리 미공군 국제사격장 철폐를 위한 주민위원회’ 전만규 위원장(64)은 “소음과 환경오염을 견디지 못해 국가를 상대로 소송까지 냈는데 반환 대상에서 제외된 이번 합의를 수용할 수 없다”고 비난했다.

또 반환 대상에서 제외된 채 국방부가 사격장내 사유지에 대한 매입계획을 세우고 있는 파주시 진동면 스토리 사격장 주민들은 사유지 1백80만평에 대해 매입에 불응키로 하는 한편 폐쇄운동을 벌일 계획이다.

〈경태영·권기정·이상호·백승목기자 kyeong@kyunghyang.com〉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