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사회 “무모한 선교활동” “무모한 파병정책”

2007.09.02 18:33

아프간 피랍인질이 모두 귀환하면서 그동안 숨죽이고 있던 선교단 책임론, 정부 몸값 지불 의혹 등이 봇물처럼 터지고 있다.

개신교의 무모한 선교활동에 대한 비난목소리가 제기되는가 하면 정부의 구상권 행사를 촉구하는 목소리도 잇따랐다. 이번 사태의 원인과 책임론에 대해선 보수와 진보단체의 시각이 뚜렷하게 엇갈렸다.

종교비판시민연대는 2일 ‘아프간 사태의 진정한 치유를 위해’라는 성명을 내고 “이번 사태는 무모한 선교와 안전을 도외시한 데 따른 인재”라고 선교단에 사태 발생 책임을 지웠다. 이들은 정부에 대해서도 “국가 공신력 실추, 국론 분열 등을 일으킨 이번 사태에 대해 정부는 철저히 책임규명해야 한다”며 “정부가 몸값을 지불했다면 이는 결국 탈레반의 테러 행위를 간접 지원한 셈”이라고 비판했다.

보수계열 시민단체 자유주의연대는 성명을 통해 “사태 책임을 정부에 묻는 것은 어불성설로, 본질적 원인은 납치범에 있다”며 “또한 자유에는 책임이 따르는 만큼 선교단에 대해 엄정한 구상권 청구가 요구된다”고 밝혔다. 이 단체 신지호 대표는 “결과적으로 우리 정부는 테러단체와의 협상 금지라는 불문율을 깨 국제사회로부터 지탄을 받게 됐다”며 “이 과정에서 행여 몸값까지 지불했다면 장차 국제 테러범들에게는 해외 한국인 납치에 좋은 빌미가 되고 말 것”이라고 우려했다.

반면 파병반대국민행동, 참여연대 평화군축센터 등 진보 시민단체는 사태의 원천적 책임이 “미국을 따라 파병 정책을 벌인 정부에 있다”며 파병정책의 전면 재검토를 촉구했다.

파병반대국민행동 정대연 정책위원장은 “타 문화권에 대한 존중없이 진행되는 공격적 선교 방식도 문제지만, 이런 발상이 가능한 근본적 이유는 다른 나라의 자주권을 인정하지 않고 침략해 들어간 ‘대테러전쟁’에 있다”고 말했다. 그는 몸값 의혹에 대해 “사실로 확인된다 해도 비정상적 원인이 비정상적 결과를 낳은 것뿐”이라며 “몸값 협상이 비정상적이라고 문제삼을 게 아니라 애초 부당한 전쟁에 가담한 정부 정책을 비판해야 옳다”고 밝혔다.

〈장관순기자〉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