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보도 통제’ 파문

‘여소야대’ 데뷔전서 난타당한 청와대…악재 방어에 급급

2016.07.01 22:51 입력 2016.07.01 23:04 수정

20대 국회 첫 운영위 표정

서별관회의·어버이연합 의혹…

야 집중포화에 해명·부인 진땀

<b>정무수석과 ‘답변 조율’</b> 이원종 대통령 비서실장(오른쪽)이 1일 국회 운영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뒷자리에 앉아 있는 김재원 정무수석(가운데)과 답변할 내용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권호욱 선임기자 biggun@kyunghyang.com

정무수석과 ‘답변 조율’ 이원종 대통령 비서실장(오른쪽)이 1일 국회 운영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뒷자리에 앉아 있는 김재원 정무수석(가운데)과 답변할 내용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권호욱 선임기자 biggun@kyunghyang.com

‘여소야대’ 20대 국회에서 1일 처음 열린 운영위원회는 달라진 청와대와 국회 관계를 보여주는 ‘상견례’ 자리이자 ‘예고편’이었다. 청와대 참모진은 ‘세월호 관련 KBS 보도 통제’ ‘서별관 밀실회의’ ‘어버이연합 게이트’ 등 사안에 대한 야당의 집중포화를 받고 진땀을 뺐다.

야당이 ‘커진’ 탓에 처음부터 무게추가 기운 상태에서 각종 악재까지 겹쳐 ‘데뷔 무대’부터 청와대가 곤경을 치렀다. 특히 전날 불거진 세월호 참사 당시 홍보수석이었던 새누리당 이정현 의원과 KBS 보도국장의 녹취록을 두고 야 3당은 ‘공영방송 보도 통제’라며 집중 공격했고, 청와대와 새누리당은 “통상적 업무 영역”이라며 맞섰다.

[청와대 ‘보도 통제’ 파문]‘여소야대’ 데뷔전서 난타당한 청와대…악재 방어에 급급

■야 “보도 통제”, 여 “보도 구걸”

청와대의 20대 국회 첫 업무보고는 이 의원 녹취록 파문으로 뒤덮였다. 야당은 “보도 통제”라고 강력 비판하면서 박근혜 대통령과 이 의원이 당시 함께 뉴스를 봤는지, 박 대통령 지시는 아닌지 등의 의혹을 함께 제기했다.

더불어민주당 강병원 의원은 이원종 대통령 비서실장에게 “이 사건은 제2의 보도지침 사건”이라며 “(대통령이) 직접 국민에게 사죄해야 한다. 온 국민이 슬픔에 빠져 있을 때 청와대는 보도 통제를 해도 되나”라고 비판했다. 강 의원은 또 “대통령과 이 전 수석이 관저나 공관에서 뉴스를 같이 보았다는 것 아니냐”며 관저 출입기록 등 관련 자료를 요구했다.

이 실장은 이 의원과 KBS 보도국장의 통화를 홍보수석의 ‘통상 업무’ ‘본연의 업무’라고 해명했다. 그는 “이정현 당시 수석이 아마 뉴스를 보고 얘기했던 것은 홍보수석 본연의 임무에 충실하기 위해서 아마 협조 요청을 했던 것이 아닌가 추측한다”고 말했다. 또 “고소·고발이 2건 있으니 수사가 끝난 뒤 결과를 보고 얘기하자”며 대통령기록물관리법상 자료 제출은 불가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 의원의 거친 언사도 도마에 올랐다. 더민주 기동민 의원은 “녹취록에 고압적이고, 모욕적인 언사가 가득하다”고 지적했다. 더민주 우상호 원내대표가 “이게 통상적인 협조인가. 적절한가”라고 따지자 이 실장은 “그렇게 우아하게 보이지는 않는다”고 답하기도 했다.

녹취록 당시 청와대 대변인이자 KBS 출신 새누리당 민경욱 의원은 이 의원을 옹호했다. 민 의원은 “녹취록을 들어보면 이 전 수석은 불과 1, 2분도 안되는 사이에 ‘봐달라’는 얘기를 수도 없이 계속한다”며 “청와대 대변인으로 있을 때 언론의 힘이 커져서 보도 통제란 말은 없고, 보도 구걸이라는 말만 있을 뿐이라는 자조적 얘기를 하곤 했다”고 말했다.

■청와대 서별관회의 “필요”

청와대는 서별관회의를 유지할 뜻을 밝혔다. 이 실장은 “요즘처럼 대내외적인 경제여건이 복잡하고 힘들 때는 혼자 결정하는 것보다 관계 장관들이 함께 모여 종합적 판단을 하면서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는 회의”라며 “필요한 정도가 아니라 꼭 해야 하는 회의”라고 말했다.

이 실장은 청와대 행정관이 어버이연합에 집회를 지시했다는 의혹도 부인했다. 그는 “집회를 한다는 얘기를 듣고 그런 장소에서 하면 분란이 생길 수 있으니 장소를 잘 고려해달라는 염려를 했다는 얘기는 들었다”며 “어버이연합과 (청와대가) 특별한 관계가 있었던 것은 아닌 것으로 알고 있다. (어버이연합이) 행정관 한 사람의 지시를 받는다든가, 지시를 따르는 경우도 없다”고 했다.

세월호 특별조사위원회 기간 연장 문제에 대해서 청와대는 “국회의 일”이라며 선을 그었다. 기동민 의원이 “(세월호 특조위를) 무기한 연장 조사해야 한다”고 요구하자 이원종 실장은 “국회에서 논의할 문제라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