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신설 경찰국에 ‘경일점’···전 직원 16명 중 경찰대 출신 ‘딱 하나’

2022.08.01 19:07 입력 2022.08.02 10:52 수정

우지원 자치경찰과장, 유일한 경찰대 출신

인사지원과 경찰대 배제... 전원 경찰 소속

행안부 장관 ‘경찰대 개혁’ 입김 반영 분석도

행전안전부 내 경찰국 공식 출범을 하루 앞둔 1일 서울 서대문구 미근동 경찰청 모습. /한수빈 기자

행전안전부 내 경찰국 공식 출범을 하루 앞둔 1일 서울 서대문구 미근동 경찰청 모습. /한수빈 기자

오는 2일 출범하는 행정안전부 경찰국에 경찰국장을 포함한 직원 16명 중 경찰대 출신은 단 1명인 것으로 확인됐다. 경찰대를 ‘개혁 대상’으로 공식화 한 윤석열 정부의 시각이 반영된 인사로 풀이된다.

1일 경향신문 취재 결과 경찰국 직원 중에 경찰대 출신은 자치경찰과장에 보임된 우지완 총경이 유일하다.

경찰국 직원 16명은 경찰 소속 12명과 행안부 소속 4명으로 구성돼 있다. 경찰 소속을 입직별로 분류하면 순경 공채(일반) 5명, 경위 공채(간부후보) 3명, 고시 1명, 경장 경채 1명, 경찰대 1명, 변호사 경채(로스쿨) 1명 순이다.

특히 경찰 인사를 총괄하게 될 인사지원과에 경찰대 출신이 배제됐다. 전원 경찰 소속으로 구성된 인사지원과는 사법고시 출신의 총경인 방유진 과장이 이끈다. 나머지 직원의 입직 경로는 일반 2명, 간부후보 2명이다.

이번 경찰국 인사는 경찰대를 향해 연일 날을 세우고 있는 이상민 행안부 장관의 입김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이 장관은 특히 경찰대 4기 출신인 류삼영 총경이 주도한 ‘전국 경찰서장 회의(총경회의)’ 개최 이후 경찰대를 겨냥한 발언을 연일 내놨다. 경찰국 신설에 대한 반발을 “특정 세력이 주도하고 있다”며 경찰대를 지목한 이 장관은 지난달 26일 “경찰대를 졸업했다는 사실만으로 자동으로 경위부터 출발하는 건 불공정하다”고 말했다. 경찰국 신설 다음 경찰 개혁 과제를 ‘경찰대 손보기’로 정했다는 뒷말이 나왔다.

실제 이날 발표된 경무관급 경찰 전보 인사에서도 경찰대 출신이 불이익을 받았다. 대표적으로 ‘치안감 인사 번복 사태’의 책임자로 지목된 임모 행안부 치안정책관은 한직인 경찰대 학생지도부장으로 발령됐다. 임 경무관 역시 경찰대 출신이다.

경찰대 출신의 한 간부는 “이번 경찰국 인사를 두고 경찰대가 딱 1명 포함돼 ‘경일점’이라는 우스개소리가 나온다”며 “능력이 아닌 출신을 근거로 불이익을 주는 것은 전근대적 행태”라고 말했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