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연대 “전면휴진 무리수 철회하고, 대통령은 공공의료 대책 마련하라”

2024.06.14 13:57

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본부 조합원들이 14일 서울 종로구 서울대학교병원 본관 앞에서 의사 집단휴진을 규탄하고 긴급 대책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문재원 기자 이미지 크게 보기

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본부 조합원들이 14일 서울 종로구 서울대학교병원 본관 앞에서 의사 집단휴진을 규탄하고 긴급 대책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문재원 기자

서울대 의대를 비롯한 의대 교수와 의협 등이 다음 주부터 집단 휴진을 예고하자 병원 노동자들이 집단 휴진 철회를 요구했다.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본부는 14일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 본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의사들의 집단 진료 거부는 휴진이 아니라 의사의 환자 사망 방치이고 정부의 국민 생명 포기 행위”라고 주장했다.

서울대병원 교수들은 오는 17일부터 응급실과 중환자실을 제외한 모든 과에서 무기한 휴진을 시작하기로 했다. 대한의사협회는 오는 18일 개원의 집단휴진과 함께 서울 여의도에서 의사 총궐기대회를 예고했다.

병원 노동자들은 의사의 집단 진료 거부가 ‘시민을 위한 저항이 아니다’고 잘라 말했다. 박경득 의료연대본부 본부장은 “파업은 사회 전체의 구조에 저항하고 힘없는 약자와 시민의 요구를 대변하는 것이지만 의사는 기득권을 이용해 민중의 생명권을 위협하고 있다”며 “오는 18일부터 교수까지 진료를 중단한다면 국민 생명은 바람 앞에 등불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전공의 집단행동 이후 의료노동자들이 ‘고통 분담’을 강요받아왔다고도 전했다. 의료연대에 따르면 사소하게는 ‘연장근로 등록 금지’ 조치부터 2주씩 번갈아 무급 휴가를 가도록 해 생계가 곤란한 노동자들도 많다고 한다. 김영희 의료연대 대구지역지부장은 “전공의 집단행동 이후 경영진들은 ‘이대로 가면 병원이 망한다’며 간호 인력을 원 부서에서 강제 전보를 하고, 부족한 의사의 업무를 하도록 요구하기도 한다”며 “무급 휴가 강요 때문에 생계에도 굉장히 위협을 받고 있다”고 전했다.

의료연대는 정부에 “진료 정상화를 위한 대화 창구를 즉각 열어 집단 진료 거부 상황이 오지 않도록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의료연대는 “정부는 공공의료는 언급되지 않는 의료개혁특별위원회를 중단하고 대통령이 나서서 의료대란을 해결하라”며 “의대 교수들도 집단 휴진이 아니라 지역·필수의료 강화, 국립대병원과 지방의료원, 보건소를 잇는 공공의료 확대, 전문의 중심병원 실현 방안을 정부에 요구하라”고 말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