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부안 지진에 호남 지역 단층 조사 앞당기나

2024.06.14 16:40 입력 2024.06.14 19:57 수정

12일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수도권기상청에서 지진 담당 주무관이 전북 부안에서 발생한 4.8 규모의 지진 관련 정보를 보여주고 있다. 연합뉴스

12일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수도권기상청에서 지진 담당 주무관이 전북 부안에서 발생한 4.8 규모의 지진 관련 정보를 보여주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 12일 발생한 전북 부안 지진을 계기로 정부가 호남권 단층조사에 앞서 부안 지역 단층 조사를 먼저 시행하는 방안을 검토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지진으로 이 지역 단층조사가 시급하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한반도 단층에 관한 정보를 담은 디지털 단층지도는 2026년 이후 제작이 추진된다.

행정안전부 관계자는 14일 “연구진 확보와 예산 문제만 해결된다면 관계기관·전문가와 협의해 충청·수도권 단층을 조사하는 연구진 일부를 부안 지역에 우선 투입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성이 있다”며 이처럼 말했다.

행안부는 2016년 경주, 2017년 포항 지진을 계기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함께 2017년부터 신생대 제4기(약 258만년 전) 이후 현재까지 지표에 파열을 초래한 ‘지표단층’을 조사하고 있다. 이 조사는 건축물의 내진설계 등 지진방재 정책 수립에 중요한 참고 자료가 된다.

권역별로 5년 동안 조사하는데 1단계 영남권 조사에서 제4기 단층 16개를 확인했다. 2022년부터 2단계로 수도권·충청권 단층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3단계 호남권 조사는 2027년, 4단계 강원권 조사는 2032년 시작한다.

이 가운데 부안 지역에서 이례적으로 규모가 큰 지진이 발생한 만큼 호남권 조사에 앞서 이 지역에 관련 조사를 시행해야 할지 검토해야 한다는 것이다. 지표단층 조사에는 박사급 50명을 포함해 110여 명의 연구진이 참여해 매년 40억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또한 행안부는 빠르면 2단계 조사가 끝나는 2026년 이후 수집된 데이터를 종합해 디지털 단층지도를 제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전문가 협의를 거쳐 정보 공개 수준이 결정될 예정이다. 지도에는 단층의 위치를 비롯해 단층의 변이, (지진의) 재현주기에 대한 정보 등이 담길 것으로 보인다.

행안부 관계자는 “향후 디지털 단층지도가 완성되면 단층이 있는 곳을 피해 가스관을 매립하는 등 산업적으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한반도 단층조사는 5개 부처에서 지표단층·심부단층·해저단층 등 3종류로 나눠 진행하고 있다.

지진의 위치를 예상하고, 지진발생의 원인 분석에 유용한 ‘심부단층’은 기상청과 원자력안전위가 조사를 맡고 있다. 2018년 수도권·영남권을 조사했고, 2단계인 강원권은 현재 연구 중이다. 충청권은 3단계, 전라권은 4단계 조사 지역이다.

이밖에 해수부는 해양에서의 지진 발생 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해 ‘해저단층’을 조사한다.

한편 기상청은 부안 지진의 원인을 분석하기 위해 지진 발생 당일인 12일부터 발생지 10㎞ 반경 내에 임시 지진관측계를 설치해 운영하고 있다.

조은영 기상청 지진화산연구과 사무관은 “현재는 여진 감시와 신속통보에 중점을 두고 있다”면서 “향후 단층 조사를 통해 단층의 크기와 형태 등을 알게 되면 이 지역에서 발생가능한 지진의 규모와 위험성을 구체적으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