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임금도 못주는 한국노총이라면

2005.09.01 18:12

한국노총이 1946년 창립 이래 처음으로 직원들의 월급을 주지 못하고 있다고 한다. 이 때문에 매년 명절이 다가오면 “노동자의 체불임금 청산에 정부와 기업이 앞장서라”며 강하게 ‘압박’하던 노총이 추석이 보름 남짓밖에 남지 않았는데도 그 흔한 성명 하나 발표하지 못하고 있다는 소식이다.

‘노총 임금체불 사태’의 가장 큰 이유는 중앙복지센터를 건립하면서 예상 밖의 추가자금이 들어간 데다 감사원 감사 등의 이유로 정부보조금 지원이 늦어지고 있기 때문이라는 게 노총 쪽의 설명이다.

이같은 일은 어쩌면 충분히 예견된 일이기도 하다. 노총간부들이 문제의 중앙복지센터 건립 발전기금 횡령 등의 혐의로 줄줄이 쇠고랑을 찼다는 보도가 아직 기억에 새롭다. ‘잿밥’에만 눈이 멀어 있는데 어떻게 건립비용을 제대로 산정할 수 있었겠는가. 또한 누적부채가 2백40억원에 이르는 부실한 재정상황에서 그동안 임금체불이 없었다는 게 ‘기적’처럼 보이기도 한다.

복지센터 비리 사건 직후 노총은 ‘유례없는 대개혁 방안’을 내놓은 바 있지만 우리는 거창한 것에 앞서 이번 체불사태를 자체 개혁의 소중한 계기로 삼기를 노총에 권고하고자 한다. 노총본부 직원은 모두 70명이다. 이 가운데 노총이 채용한 인원이 50여명이고 이용득 위원장을 비롯한 나머지 20여명은 파견 인원으로서 소속회사에서 급여를 받는다.

따라서 노총은 이위원장 등 파견직 인원들의 급여를 나눠서라도 체불사태를 해결해야 한다. 그래야 전국의 임금체불 사업장에 대해 질타를 할 수 있고, 그것이 받아들여진다면 많은 노동자들이 기쁜 마음으로 추석달을 쳐다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노총은 정부 보조금에 의존해왔던 시스템에서 벗어나길 바란다. 정부 돈에 의존하면 누가 뭐래도 ‘당당하고 독립적인’ 목소리를 내는 데는 한계가 있게 마련이다. 민주노총과 더불어 노동계의 우람한 쌍두마차가 돼야 할 한국노총의 각성과 분투를 기대한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