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메모

‘日軍생존 해프닝’과 日의 과거회귀

2005.06.01 18:10

‘검증, 옛 일본군’. 일본 신문들은 1일 이런 기사를 일제히 내보냈다. 그동안 일본을 들끓게 했던 옛 일본군 생존 얘기가 사실상 ‘희대의 해프닝’으로 끝나면서 이를 되짚어 보는 일종의 고해성사다.

일본 신문들이 전하는 전말은 이렇다. 지난해 8월 재일 필리핀전우회에 옛 일본군으로 보이는 남성 2명이 생존해 있다는 정보가 날아들었다. 전우회는 이들의 이름이 참전자 명부에 기재돼 있는 것을 밝혀내고 올초 정부에 조사를 요청했다. 일부 언론은 이 과정에서 독자적인 취재에 들어갔다.

수면 밑에 있던 이 얘기는 지난달 26일 중재인을 자처하는 남성이 주필리핀 일본대사관에 전화를 걸어 생존자와의 면담을 약속하면서 모습을 드러냈다. 정부가 움직였고, 동시에 기자 100여명이 현지에 날아갔다. 금방이라도 옛 일본군 2명이 생환될 분위기였다.

그러나 상황은 반전됐다. 중재인은 ‘통행료’ 운운하며 약속을 지키지 않았다. 급기야 일본정부 관계자에게 “그들을 만나봤으나 부모 이름은 물론 일본어도 몰랐다. 아닌 것 같다”고 했다. 정부 관계자들은 이후 추가 확인 작업을 포기하고 결국 31일 철수했다.

산케이신문은 이날 “정보와 사실의 구별이 이뤄지지 않았다. 일련의 보도가 가족이나 관계자에게 큰 심리적 부담을 끼친 점을 반성한다”고 말했다. 각 언론사들은 얘기가 확대된 것과 관련해 정부가 나서고 이름이 거론되는 구체성, 전후 60년이라는 시점, 1974년 생환한 옛 일본군 오노다 히로 등에 대한 향수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때문이라고 고백했다.

브로커에 휘둘려 일본 전체가 들썩거린 이번 대소동에서 일본의 과거 회귀 성향을 감지했다면 지나친 비약일까.

〈박용채 도쿄특파원〉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